매일신문

한덕수 총리 인준 늦어지자…'차관 내각 체제' 조치

15개 부처 차관 20명 인선 발표…기재1 방기선·외교1 조현동 등 '차관 내각 체제'로
새 정부 출범 직전 차관급 인사 단행
통일 김기웅·국방 신범철·교육 장상윤 등 내정
MB정부 6명·朴정부 6명·文정부 2명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9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집무실에서 아만다 밀링 영국 국무상을 접견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9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집무실에서 아만다 밀링 영국 국무상을 접견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9일 새 정부 '1기 내각'의 15개 부처 20개 차관급 인선을 발표했다.

한덕수 초대 국무총리 후보자의 국회 인준이 불확실해져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총리 대행' 체제로 새 정부가 출발할 가능성이 커지자 새 정부 출범 직전 차관급 인사를 우선 단행한 것이다.

특히 일부 장관 후보자들의 국회 인사청문회 일정이 늦어지는 상황도 감안해 새 정부 국정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하기 위한 '차관 내각 체제' 조치로 풀이된다.

윤 당선인은 이날 기획재정부 1차관에는 기재부 차관보를 지낸 방기선 아시아개발은행(ADB) 상임이사를 내정했으며, 외교부 1차관에는 조현동 유엔산업개발기구 한국투자진흥사무소 대표, 2차관에는 문재인 정부 시절 '한반도프로세스' 비핵화 협상을 주도했던 이도훈 전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을 각각 지명했다.

통일부 차관에는 김기웅 전 대통령비서실 통일비서관, 국방부 차관에는 신범철 경제사회연구원 원장 겸 외교안보센터장이 각각 내정됐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의 낙마로 '장관 대행' 체제가 예상되는 교육부 차관에는 장상윤 국무조정실 사회조정실장이 내정됐고,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에는 김성호 행안부 재난관리실장이 각각 지명됐다.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에는 김인중 농림부 차관보가 내정됐다.

보건복지부 1차관은 조규홍 전 기획재정부 재정관리관, 보건복지부 2차관에는 이기일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이 각각 내정됐다.

환경부 차관에는 유제철 전 환경부 생활환경정책실장, 국토교통부 1차관에는 이원재 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이 지명됐다.

해양수산부 차관에는 송상근 해수부 해양정책실장, 중소벤처기업부 차관에는 조주현 중기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이 각각 낙점됐다.

새 정부 출범 직전 차관급 인사를 먼저 단행한 만큼 이날 발표된 차관급 인사 대부분은 정통 관료들로 '내부 승진'이 주요 특징으로 꼽힌다.

앞서 장관급 인선에 대선캠프·인수위 출신 인사 등 정무적 요인이 주로 반영된 측면이 있던 반면 차관급은 전문성에 의미를 둔 것으로 풀이된다.

차관·차관급 20명의 평균 나이는 55.8세로 집계됐고, 여성 차관은 전무했다.

출신 학교별로는 서울대가 전체 20명 중 8명으로 가장 많고, 연세대가 6명으로 뒤를 이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9일 새 정부 15개 부처 차관급 인선과 비서실 부속실장을 발표했다. 윗줄 왼쪽부터 기획재정부 1차관 방기선, 2차관 최상대, 교육부 차관 장상윤, 외교부 1차관 조현동, 2차관 이도훈, 통일부 차관 김기웅, 국방부 차관 신범철. 가운데줄 왼쪽부터 행정안전부 차관 한창섭, 재난안전관리본부장 김성호, 문화체육관광부 1차관 전병극,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김인중,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장영진, 통상교섭본부장 안덕근, 보건복지부 1차관 조규홍. 아랫줄 왼쪽부터 보건복지부 2차관 이기일, 환경부 차관 유제철, 고용노동부 차관 권기섭, 국토교통부 1차관 이원재, 해양수산부 차관 송상근,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조주현, 대통령 비서실장 직속 부속실장 강의구.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9일 새 정부 15개 부처 차관급 인선과 비서실 부속실장을 발표했다. 윗줄 왼쪽부터 기획재정부 1차관 방기선, 2차관 최상대, 교육부 차관 장상윤, 외교부 1차관 조현동, 2차관 이도훈, 통일부 차관 김기웅, 국방부 차관 신범철. 가운데줄 왼쪽부터 행정안전부 차관 한창섭, 재난안전관리본부장 김성호, 문화체육관광부 1차관 전병극,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김인중,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장영진, 통상교섭본부장 안덕근, 보건복지부 1차관 조규홍. 아랫줄 왼쪽부터 보건복지부 2차관 이기일, 환경부 차관 유제철, 고용노동부 차관 권기섭, 국토교통부 1차관 이원재, 해양수산부 차관 송상근,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조주현, 대통령 비서실장 직속 부속실장 강의구. 연합뉴스

윤 당선인의 인수위·캠프 참여인사는 2명(신범철·조규홍)이다.

아울러 엘리트 관료 그룹 특성상 청와대 파견 이력이 많았다.

MB정부 청와대 출신(방기선·조현동·장영진·조규홍·이기일·이도훈)이 5명이었고, 박근혜 정부 청와대 출신(이도훈·김기웅·전병극·이원재·송상근·조주현)이 6명이었다.

김성호 재난안전관리본부장과 권기섭 고용노동부 차관 2명은 현 정부 청와대 선임행정관을 지냈다.

이도훈 차관은 MB정부와 박근혜 정부 시절 잇단 청와대 파견 경력이 있다.

최상대 기획재정부 2차관은 박근혜 정부 시절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비서실장을 지냈고, 조현동·이도훈 외교부 1·2차관은 각각 2010∼2012년, 2012∼2013년 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장을 지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