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8.3% 올랐다. 1981년 이후 41년 만에 최고 수준 상승폭을 기록했던 지난달 CPI(8.5%)에 비해서는 소폭 하락했다.
일부에서는 미국 인플레이션이 둔화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도 나오고 있지만 전문가 예상치보다는 실제 결과가 높게 나와 물가 상승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반론도 나온다.
미 노동부는 11일(현지시간) 4월 CPI가 8.3% 상승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달의 상승 폭 8.5%보다는 떨어진 수치다. 미국의 물가 상승 폭이 전달에 비해 하락세로 돌아선 것은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이다. 3월에 비해서는 0.3% 올랐다. 휘발유 가격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43.6% 올랐고, 중고차(22.7%)와 식품(9.4%) 가격도 상승했다.
이번 발표 결과 코로나19 경기부양책이 시행된 이후 상승 일로였던 미국 물가가 처음으로 상승 속도가 느려지기는 했다. 다만 로이터가 시장 이코노미스트들의 전망을 집계한 미국 4월 CPI 상승률 전망치(지난해 같은 달 대비 8.1%)에 비해서는 실제 결과가 높게 나왔다.
3일 연속 미국증시가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미극 증권시장에서는 4월 CPI를 이날 발표치 보다 낮게 책정했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CPI전망치는 전년 동월 대비 8.1%였다. 스위스쿼트 은행의 이펙 오즈크데스캬야 선임 애널리스트는 "CPI가 4월에 8.1%로 전달 기록한 8.5%에서 둔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의 완화는 투자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유일한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CNBC는 "3월 CPI의 8.5%를 밑돌 것으로 예상돼 투자자들은 4월 CPI를 기대하고 있다. (예상대로라면) 인플레이션이 정점에 도달했다는 신호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세계적인 공급망 혼란에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러시아산 원유 금수 조치가 잇따르면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변수가 속출했다.
이에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4일 미국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하는 등 각 국은 인플레이션 대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10일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을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는 내 국내 (과제) 최우선순위"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