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뉴욕증시 2년만 최악의 하루…다우 3.57%·나스닥 4.73% 폭락

월마트·타깃 등 '유통 공룡'의 실적 부진으로 인플레 공포 자극

1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입회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이날 뉴욕증시는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시장의 예상치를 웃돌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지속돼 하락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각각 1.02%와 1.65% 떨어졌고 나스닥 지수는 3.18%의 큰 낙폭을 보였다. 연합뉴스
1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입회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이날 뉴욕증시는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시장의 예상치를 웃돌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지속돼 하락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각각 1.02%와 1.65% 떨어졌고 나스닥 지수는 3.18%의 큰 낙폭을 보였다. 연합뉴스

미국 뉴욕증시가 물가상승과 소매기업 실적 악화에 2년여 만에 최악의 하루를 보냈다.

1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64.52포인트(3.57%) 떨어진 31,490.07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65.17포인트(4.04%) 급락한 3,923.68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566.37포인트(4.73%) 폭락한 11,418.15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S&P 500 지수의 이날 낙폭은 코로나19 사태 초기인 2020년 6월 이후 가장 컸다고 CNBC방송은 전했다.

월마트와 타깃 등 미국의 '유통 공룡'들이 잇따라 부진한 실적을 발표한 것이 대형 악재로 작용했다.

전날 미 최대 유통업체인 월마트가 유가와 인건비 등의 상승을 근거로 올해 순이익 전망치를 -1%로 대폭 하향 조정한 데 이어 또 다른 대형 업체인 타깃도 이날 인플레이션 때문에 1분기 실적이 월가 예상을 하회했다고 밝혔다.

월마트는 전날 1987년 10월 이후 최대폭인 11.4% 급락한 데 이어 이날 6.8% 추가 하락했고, 타깃은 하루 만에 24.9% 폭락했다. 아마존(-7.2%), 베스트바이(-10.5%), 메이시스(-10.7%) 등 다른 유통 관련주들도 일제히 급락했다.

대형 유통기업들의 실적 부진은 인플레이션 공포와 함께 경기침체 우려를 증폭시켰다.

소비자들이 앞으로 지출을 줄일 가능성이 커진 데다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급격한 금리인상이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경기침체를 초래할 수 있다는 두려움이 되살아난 것이다. 연준은 금리인상을 통해 물가를 안정시키면서 성장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그러나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길어지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증시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소비에 타격을 주고 있으며, 이것이 실적 보고서에 반영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S&P500지수 내 11개 업종이 모두 하락했으며, 임의소비재와 필수소비재 관련주가 모두 6% 이상 떨어졌다. 기술주와 산업·통신 관련주는 3~4% 이상씩 하락했다.

당초 3%수준이었던 미국의 10년물 국채금리는 이날 장 마감 시점에 2.89%까지 떨어졌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