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업 10곳 중 9곳 지방 이전 계획 없어…"교통·물류·인력 때문"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매일신문 DB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매일신문 DB

기업 10곳 중 9곳은 지방으로 이전하거나 지방에 사업장을 늘릴 필요성이 있냐는 질문에 '교통 불편, 인력 부족' 등을 들어 이전 계획이 없다고 응답했다.

19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상위 기업 1천 곳 가운데 152곳을 대상으로 지난달 11∼27일 '기업의 지방 이전 및 지방 사업장 신증설에 관한 의견'을 조사해 결과를 발표했다.

전경련은 앞서 실시한 해외 기업의 국내 유턴, 지역 균형발전 등과 관련해 기업들 입장을 듣고자 이번 조사를 실시했다.

응답 기업 대다수(89.4%)는 기업을 지방으로 이전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이전을 고려한 적이 없다'는 응답이 84.8%를 차지했고, '이전을 고려했으나 계획이 없다'는 응답도 4.6%로 나타났다.

'지방으로 이전할 수 있다'고 답한 기업(10.6%) 중 2.0%는 '기업 이전을 현재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제도 지원을 받으면 고려할 수 있다'고 응답한 기업도 0.7%였다.

기업을 이전한다면, 대전·세종·충청(55.3%)이 가장 높았고, 부산·울산·경남(16.4%), 대구·경북(11.2%) 지역이 뒤를 이었다.

해당 지역을 택한 이유로는 '교통·물류 인프라가 다른 지역에 비해 좋기 때문'(60.5%)이라는 응답이 주를 이뤘다.

기업의 지방 이전 장애물과 지방 이전을 위해 필요한 유인책. 전경련 제공
기업의 지방 이전 장애물과 지방 이전을 위해 필요한 유인책. 전경련 제공

기업들은 지방 이전을 꺼리는 가장 큰 이유로 '시간·비용 증가 등 교통·물류 어려움'(23.7%)를 들었다. 지방으로 이전하면 영업, 물류 거점이 밀집한 수도권에 비해 비용이나 불편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기존 직원 퇴사 등 인력 확보 어려움(21.1%) ▷규제(12.3%) ▷사업장 부지 확보 어려움(12.1%) 등 순으로 응답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기업이 지방으로 이전할 때 MZ세대 직원들이 퇴사하는 현상이 늘고 있어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분야별로는 제조업 경우 '사업장 부지 확보 어려움'(13.5%), '규제'(13.0%)를 지방 이전의 장애요인으로 뽑았다.

서비스업은 '숙소·병원·학교 등의 생활 인프라 부족'(12.8%)이 지방 이전의 높은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 경우 수도권처럼 인구가 밀집한 지역일 수록 수익을 내기 유리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런 이유에서 기업들은 지방 이전에 필요한 유인책으로 '교통·물류 인프라 지원'(22.8%)이 시급하다고 응답했다.

이어 ▷세제 혜택 및 설비투자 지원(14.5%) ▷규제 및 제도 개선(12.9%) ▷사업장 부지 제공(12.1%) 등을 원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기업들의 지방 이전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없어지도록 정부와 지자체에서 지속적으로 노력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