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9곳은 지방으로 이전하거나 지방에 사업장을 늘릴 필요성이 있냐는 질문에 '교통 불편, 인력 부족' 등을 들어 이전 계획이 없다고 응답했다.
19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상위 기업 1천 곳 가운데 152곳을 대상으로 지난달 11∼27일 '기업의 지방 이전 및 지방 사업장 신증설에 관한 의견'을 조사해 결과를 발표했다.
전경련은 앞서 실시한 해외 기업의 국내 유턴, 지역 균형발전 등과 관련해 기업들 입장을 듣고자 이번 조사를 실시했다.
응답 기업 대다수(89.4%)는 기업을 지방으로 이전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이전을 고려한 적이 없다'는 응답이 84.8%를 차지했고, '이전을 고려했으나 계획이 없다'는 응답도 4.6%로 나타났다.
'지방으로 이전할 수 있다'고 답한 기업(10.6%) 중 2.0%는 '기업 이전을 현재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제도 지원을 받으면 고려할 수 있다'고 응답한 기업도 0.7%였다.
기업을 이전한다면, 대전·세종·충청(55.3%)이 가장 높았고, 부산·울산·경남(16.4%), 대구·경북(11.2%) 지역이 뒤를 이었다.
해당 지역을 택한 이유로는 '교통·물류 인프라가 다른 지역에 비해 좋기 때문'(60.5%)이라는 응답이 주를 이뤘다.

기업들은 지방 이전을 꺼리는 가장 큰 이유로 '시간·비용 증가 등 교통·물류 어려움'(23.7%)를 들었다. 지방으로 이전하면 영업, 물류 거점이 밀집한 수도권에 비해 비용이나 불편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기존 직원 퇴사 등 인력 확보 어려움(21.1%) ▷규제(12.3%) ▷사업장 부지 확보 어려움(12.1%) 등 순으로 응답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기업이 지방으로 이전할 때 MZ세대 직원들이 퇴사하는 현상이 늘고 있어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분야별로는 제조업 경우 '사업장 부지 확보 어려움'(13.5%), '규제'(13.0%)를 지방 이전의 장애요인으로 뽑았다.
서비스업은 '숙소·병원·학교 등의 생활 인프라 부족'(12.8%)이 지방 이전의 높은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 경우 수도권처럼 인구가 밀집한 지역일 수록 수익을 내기 유리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런 이유에서 기업들은 지방 이전에 필요한 유인책으로 '교통·물류 인프라 지원'(22.8%)이 시급하다고 응답했다.
이어 ▷세제 혜택 및 설비투자 지원(14.5%) ▷규제 및 제도 개선(12.9%) ▷사업장 부지 제공(12.1%) 등을 원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기업들의 지방 이전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없어지도록 정부와 지자체에서 지속적으로 노력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