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최고위원' 평행선 위 이준석-안철수…권성동 '중재'에도 날선 신경전

권성동 "김윤만 임명하면 어떠냐"…安 "정점식까지 2명 모두 임명해달라"
권성동 "2명 임명할 수밖에, 최고위 결론나야"…당 안팎 '절충 쉽잖을 듯'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안철수 의원에게 꽃다발을 전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안철수 의원에게 꽃다발을 전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합당 '통합 지도부' 구성을 둘러싸고 국민의당 대표를 지낸 안철수 의원과 그를 비방하는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간 공개 신경전이 며칠째 이어지고 있다. 차기 당권과 계파를 둘러싸고 갈등 조짐이 노출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권성동 원내대표가 지도부를 대표해 안 의원과 대화해 보겠다며 '중재자'를 자처했지만 기존 입장만 재확인하는 데 그쳤다.

권 원내대표는 16일 오후 국회에서 "안 (전) 대표와 통화했다. 최고위에서 모아진 의견, 즉 '최고위 정수를 9명 유지한 상태에서 최고위원 1명만 추가로 받으면 어떻겠느냐'고, 양해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앞서 이날 오전 비공개 최고위에서 참석자들은 권 원내대표가 안 의원을 만나 당내에서 제기된 우려 등 의견을 전달하고 이야기를 나눠보는 것으로 의견을 모았다. 이를 행동에 옮긴 것이다.

권 원내대표는 "그랬더니 안 대표는 '당초 2명 최고위원 임명을 그대로 진행해달라고 요청했다"면서 "(안 의원이) '국민의당 대표 시절 결정한 사항이고 지금은 국민의당이 해체됐기에 본인이 그것을 결정할 권한이 없다'며 그렇게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권 원내대표는 "(안 의원에게) '알았다'고 하고, 그 상황을 이준석 대표에게 보고했다. 이 대표는 '알았다. 네네'라고 반응했다"고 설명했다.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 원내대표는 전날 국민의당 몫 최고위원 2명을 추가 인선하면서 최고위를 현행 9명에서 11명으로 늘리려면 당헌·당규 개정과 당 전국위원회 개최 등 절차가 필요하다며 "안 대표가 양보하면 국민의당 출신인 김윤 한 사람만 받아서 당헌·당규 개정 없이 9명으로 최고위를 꾸릴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6·1 지방선거에서 대구시장에 도전한 김재원 전 최고위원 자리가 공석인만큼, 김윤 전 위원장만 추가하면 기존 9명의 최고위원 정원을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그는 이날 오전 YTN 라디오에 출연해서도 "당 대 당 통합을 했고 그렇게 약속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약속은 준수해야 한다는 것이 제 기본적인 입장"이라며 "안철수 (전) 대표가 (인선 재고 요구에 대해) '나는 동의를 못 한다'고 그런다면 두 명을 다 임명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화를 통해 안 대표께서 양보하면 당헌·당규 개정 없이도 최고위원을 바로 임명할 수 있으니까, 그 부분에 대해 안 대표의 의중을 다시 한번 확인해보자는 '중재안'을 냈다"고 설명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안 의원과 대화하기에 앞서 '안 전 대표가 제안을 받지 않으면 어떻게 할 건가'라는 기자들 질문에 "그러면 두 명을 임명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개인적 의견으로는 안 전 대표가 추천한 사람을 수용해야 한다. 다만 최고위에서 결론 나야 하고 혼자 결정할 사항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운데)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눈을 감고 앉아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운데)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눈을 감고 앉아 있다. 연합뉴스

이날 이 대표는 안 의원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이 대표는 오후 국회에서 '권 원내대표에게 안 의원과 접촉한 내용을 들었나'라는 기자들 질문에 "권 원내대표한테 물어보라"며 언급 자체를 피했다. 그는 오전 비공개 최고위에서도 안 의원을 가리켜 "땡깡부린다"는 표현으로 불만을 나타냈다.

당 안팎에서는 평행선을 달리는 두 사람의 갈등을 해소할 '절충안'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 내다본다.

양측 갈등의 배경에는 두 사람의 구원은 물론, 포스트 지방선거 국면의 당 주도권 다툼, 차기 당권 구도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는 이유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