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제기된 세대교체론이 좀처럼 동력을 얻지 못하고 있다. 고질적인 계파 정치가 위기상황에서 더욱 공고화 되는데다, 차기 공천권에 대한 눈치보기까지 더해지면서 변화를 전제로 한 세대교체론이 현역 의원들의 관성적 행보로 부터 외면 받고 있기 때문이다.
세대교체론은 당내 '97그룹'(90년대 학번·70년대생)에 속한 재선급 의원이 지도부에 입성해 당의 근본적 쇄신을 주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대선 패배에 책임이 있는 이재명 의원은 물론 친문(친문재인)계 핵심인 전해철·홍영표 의원도 8월 전당대회에 나와선 안 된다는 '불출마론'이 핵심이지만, 이 같은 움직임이 구체화되진 않고 있다.
일부 의원들이 이 의원의 불출마를 요구하는 연판장을 돌릴 것을 제안했으나 전당대회 국면을 격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에 가로 막힌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권에선 대선·지선 패배로 위기를 맞은 민주당 내에서 계파 정치가 더욱 힘을 받는 탓에 신진세력의 운신의 폭이 줄어들고 있는 것을 핵심 원인으로 지적한다. 명분 있는 세대교체론임에도 불구하고 이 의원이나 친문계 인사가 당권을 잡을 경우, 차기 총선 공천에서 불이익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역대 전당대회에서 세대교체론이 성공한 전례가 없다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2012년 민주통합당 전대 때는 김부겸 전 국무총리, 박영선 전 중소벤치기업부 장관, 이인영 의원 등이 세대교체론을 들고 나왔으나, 친노(친노무현)계 한명숙 전 총리에 무릎 꿇고 말았다.
2018년 전대에서도 송영길 전 의원이 세대교체론을 주창했으나, 친문계의 몰표를 받은 이해찬 전 대표를 꺾지 못했다.
정치·선거 컨설팅업체 엘엔피파트너스의 이주엽 대표는 "97그룹이 제기한 세대교체론이 결국 찻잔 속 태풍에 그치고 있다"며 "특히 세대교체론의 핵심이었던 '이재명 책임론'이 이 의원의 버티기에 힘을 잃은 것이 치명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