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담배의 니코틴 함량을 대폭 줄이는 방안을 추진한다.
워싱턴포스트(WP)는 미 식품의약국(FDA)이 담배 회사가 니코틴 함량을 최소화하거나 중독성이 없는 수준으로 낮추도록 의무화하는 규정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방안은 올해 초 바이든 대통령이 향후 25년간 암 사망률을 절반으로 낮추겠다고 발표한 계획과도 연관돼 있다.
미국에서 매년 약 48만 명이 흡연과 관련된 질환으로 사망하는데, 예방 가능한 사망 원인 중 1위가 담배와 관련돼 있다는 분석도 있다.
다만 니코틴 함량을 낮추려는 FDA의 발표가 이뤄지더라도 실제로 담배에서 니코틴 함량을 대폭 줄이는데 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FDA가 구체적인 규정을 제안하는 데 최소 1년이 걸릴 수 있고, 이후에도 각계 의견을 청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담배회사들이 이 규정이 강력하게 반발하며 변경을 시도하는 것은 물론 법원에 소송을 제기할 가능성 역시 있다.
FDA는 작년 초 백악관, 보건복지부와 담배의 니코틴 감축 전략을 논의했는데, 당시 백악관은 멘솔 담배 금지 추진을 허용하면서도 니코틴 수준에 대한 결정은 보류했다고 WP는 전했다.
2009년 가족 흡연예방 및 담배통제법은 FDA가 니코틴을 중독성이 없는 수준으로 낮추도록 할 권한을 부여했지만 담배 판매 자체를 금지하거나 니코틴을 제로(0)로 만들진 못하게 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