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삐 풀린 물가…상승률 외환위기 이후 24년 만에 최고치

물가 상승 속도 주춤하나, 고물가 당분간 계속될 듯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급등하며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급등하며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74로 작년 동월 대비 6.3% 상승했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23년 8개월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사진은 이날 대구 달서구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는 모습.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외환위기 이후 2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물가 상승 속도는 조금씩 느려지고 있지만, 6%대 고물가는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8.74(2020년 100 기준)로 전년 동기 대비 6.3% 올랐다. 이는 환율 급등으로 물가가 가파르게 오른 1998년 11월 외환위기 당시의 6.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 6월 6.0%로 23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데 이어 7월에 더 높아졌다. 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6%대 이상을 기록한 건 1998년 10월(7.2%), 11월(6.8%) 이후 처음이다.

하지만 물밑에서는 조용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전월 대비 상승률이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올해 들어 1월과 2월에 0.6%, 3~5월에 0.7%를 기록하던 전월 대비 상승률이 6월에 0.6%, 7월에 0.5%로 조금이나마 둔화하는 흐름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유는 그동안 소비자물가 상승을 부추겼던 주력 엔진인 국제유가 등 대외변수가 최근 들어 잠시 안정을 찾았기 때문이다. 6월 중순쯤 배럴당 120달러에 육박했던 두바이유 가격은 최근 들어 100달러를 소폭 웃도는 수준으로 내려왔다. 국제 원자재 가격, 곡물 가격도 유사한 흐름이다.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그간 물가상승을 주도한 국제유가가 다소 하락했고 유류세 인하 등이 더해지면서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이 1천800원대에 진입하는 등 석유류의 물가 상승 압력이 둔화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안팎에선 물가 정점론이 서서히 흘러나오고 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현재의 유가 흐름과 여러 상황을 보면 9월말 또는 늦어도 10월 정도가 물가 정점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면서도 "러시아 문제 등으로 다시 유가가 반등하거나 곡물, 공급망 수급 상황이 현재보다 훨씬 더 나빠지지 않는다는 대외적 요건을 전제로 드리는 말씀"이라고 부연했다.

그렇다고 물가가 당장 내려간다는 의미는 아니다. 한국은행은 이날 물가 상황 점검 회의를 열고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아진 가운데 고유가 지속, 물가 압력 증대 등으로 앞으로도 소비자물가는 당분간 6%를 웃도는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아울러 통계청은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에 대해 5%가 넘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