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이하 TK신공항) 이전 사업 기본계획을 18일 공개했다. 2016년 7월 권영진 당시 대구시장이 TK신공항 건설 구상을 발표한 지 6년, 대구시가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한 지 1년 10개월 만에 드디어 대구경북 백년대계의 청사진이 나온 것이다.
대구시 기본계획을 보면 TK신공항의 규모가 기존 K-2 군 공항 및 대구공항보다 많이 커진 점이 눈에 띈다. 대구시 계획대로 지어진다면 TK신공항은 부지 기준으로 K-2 군 공항보다 2.3배, 대구공항보다 5배 확대된다. 2천744m 길이 군 공항 활주로 2본을 설치하되 그중 1본을 3.8㎞로 연장하겠다는 내용도 들어 있다. 대한민국 중남부권 중추공항으로서 유럽·미주권 국제 노선 취항을 성사시키려면 반드시 필요한 조건이다.
대구시가 추산한 총사업비는 군 공항 11조 4천억 원, 민간 공항 1조 4천억 원 등 총 12조 8천억 원에 이른다. 막대한 사업비가 소요되는 초대형 사업인 만큼 대구시의 계획대로 추진하려면 넘어야 할 관문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이번 대구시 기본계획에서 TK신공항 개항 목표 시기가 당초 2028년에서 2030년으로 늦어진 점은 못내 아쉽다. 국제 노선 취항 등 선점 효과를 고려할 때 2년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시간이다.
결국 TK신공항 특별법 통과가 더욱 중요해졌다. 주호영 국민의힘 의원이 대표 발의한 특별법이 통과되면 후적지 개발과 교통 연계망 구축 등에 따른 예비 타당성 조사를 면제받아 공항 건설에 속도를 낼 수 있다. 군 공항 이전 시 모자라는 사업비를 국비로 충당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업 추진 리스크 해소 차원에서도 특별법은 반드시 필요하다.
TK신공항의 밑그림이 그려진 만큼 이제부터는 국방부 합의각서 작성 및 기획재정부의 기부 대 양여 심의 등 필요 절차를 차질 없이 잘 밟아 나가야 한다. 마침 경상북도도 내달 7일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범도민추진위원회를 출범한다고 하니 이참에 대구시와 경북도, 군위군, 의성군의 협동 플레이 분위기도 확실히 다져야 할 것이다. TK 정치권도 이제 실력을 보여줘야 한다. 국민의힘 당내 분위기가 어수선하긴 해도 특별법 국회 통과에 온 힘을 쏟아붓기를 주문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