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추경호 "8월 물가 6% 안 넘을 것…종부세 완화 野 막판 고심"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5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도 예산안과 관련해 상세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5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도 예산안과 관련해 상세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를 넘지 않을 것으로 예측했다.

추 부총리는 30일 KBS 뉴스9에 출연해 "7월에 (물가가) 6.3% 올랐는데 8월은 현재로 보면 6%를 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년 전보다 6.3% 올라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8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 미만으로 기록되면 물가 상승폭이 다소 줄어드는 것이 된다.

추 부총리는 "물가 지표는 통계청이 발표 직전에 저희한테 공식적으로 알려준다"면서도 "주요 품목에 관해 유가를 포함해 매일 가격동향을 체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여야가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1주택 종합부동산세 완화 법안과 관련해선 "오늘 국회에서 김진표 국회의장과 기재위 야당 간사인 신동근 의원을 만나 협조를 당부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한꺼번에 많이 오른 종부세 부담을 2020년 수준으로 완화하겠다는 약속을 지키자는 협상안을 제시했으며, 김 의장이 '적극적으로 중재 노력을 해보겠다'고 답했다. 야당 쪽에서 막판 고심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내년 예산안에서 지역화폐 관련 예산이 전액 삭감된 데 대해서는 "지역화폐는 원래 지방자치단체에서 발행하는, 지자체 고유사업"이라며 "지난 3년간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일부를 (중앙) 정부 재정에서 지원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내년에 국가에서 세금 거둔 것의 약 22조원이 지방으로 가고 그중 지자체로 가는 예산이 11조원 이상"이라며 "지자체가 그 재정 여력을 활용해서 자체적으로 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