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업계의 가격 인상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하반기에도 이런 흐름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15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이날부터 농심이 26개 라면 브랜드 가격을 평균 11.3% 올렸다. 편의점에서 신라면 1봉지당 판매가격은 900원에서 1천원으로 인상됐다. 신라면 용기면 경우 큰컵은 1천250원에서 1천400원, 작은컵은 1천원에서 1천150원이 됐다.
이날 오리온 역시 16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15.8% 올랐다. 편의점 기준 판매가격을 따져보면 12개들이 초코파이 한 상자 가격은 4천800원에서 5천400원으로 인상됐다. 포카칩(66g)과 꼬북칩(80g)은 각각 1천500원에서 1천700원, 예감(64g)은 1천200원에서 1천500원으로 올랐다.
팔도 경우 다음 달 1일부터 라면 12개 제품 가격을 평균 9.8% 인상하기로 했다. 공급가 기준으로 팔도비빔면은 9.8%, 왕뚜껑은 11.0%, 틈새라면빨계떡은 9.9% 오른다.
지난달에는 CJ제일제당이 스팸 클래식(200g)의 편의점 가격을 4천480원에서 4천780원으로 6.7% 올렸다. 빙그레도 붕어싸만코와 빵또아 등 일부 아이스크림 제품의 소매점 판매 가격을 20% 인상했다. hy(옛 한국야쿠르트)는 이달 1일 대표제품군인 '야쿠르트 라이트' 가격을 200원에서 220원으로 10% 올렸다.
가공식품 가격이 잇따라 오르는 가운데 농산물도 생산량이 줄어든 탓에 가격이 1년 전보다 크게 올랐다. 올해 여름 폭염과 잦은 호우 등 날씨가 좋지 않아 농산물 작황이 부진했다.
배추는 10㎏에 3만4천240원(14일 기준)으로 1년 전(1만4천792원)보다 2.3배 상승했다. 한 달 전(1만7천875원)과 비교해도 2배 수준. 무는 20㎏에 2만7천580원으로 1년 전(1만1천20원)의 2.5배, 당근(20㎏ 기준)은 6만9천440원으로 1년 전(3만5천8원)의 2배 수준이 됐다.
최근 지나간 제11호 태풍 '힌남노' 탓에 프랜차이즈 업계에 양상추 수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한국맥도날드는 일부 매장에서 버거 등 일부 메뉴에 양상추를 적량보다 적게 넣거나 아예 제공하지 않고 있다. 써브웨이, 맘스터치 역시 양상추를 수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국제 곡물 가격이 치솟은 데다 원·달러 환율이 급등, 수입 단가까지 높아졌다"며 "이로 인해 제조 원가 압박이 커져 판매가를 올리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몰린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