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생산자물가지수가 1년 10개월 만에 처음으로 하락세로 전환됐다. 최근 국제 유가 상승세가 꺾인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는 7월에 비해 0.3% 낮은 120.12(2015년 수준 100)로 나타났다. 2020년 10월(-0.4%) 이후 1년 10개월 만에 지수가 하락했다. 5월(0.7%)부터 상승세가 둔화, 6월과 7월 각각 0.6%, 0.3%로 상승 폭이 줄더니 이번에 내림세로 돌아섰다.
7월과 비교해 품목별로 살펴보면 공산품이 1.4% 하락했다. 석탄·석유제품은 8.6% 떨어졌고 화학제품이 2.4%, 제1차 금속제품이 1.1% 내렸다. 한국은행 측은 "최근 국제 유가가 내리면서 공산품 물가지수가 같은 흐름을 보임에 따라 8월 생산자물가지수가 하락 전환됐다"고 했다.
하지만 나머지 부문에선 오름세를 보였다. 특히 농림수산품은 2.5% 올랐다. 수산물(-0.5%)이 다소 내렸으나 농산물(3.8%)과 축산물(2.1%)이 올라서다. 태풍 등 기상 여건 악화로 일부 채소 출하량이 감소하고 추석을 앞두고 관련 수요가 늘어난 게 원인으로 지적된다.
한편 수입품을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공급물가지수는 한 달 새 1.0% 하락했다. 2020년 11월(-0.2%) 이후 1년 9개월 만에 하락 전환한 것이다. 원재료(-5.8%), 중간재(-0.7%), 최종재(-0.1%)가 모두 내린 탓으로 풀이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