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수확기 공공비축미를 45만톤(t) 매입하고, 쌀값 폭락을 막기 위해 쌀 45만t을 추가 수매해 시장에서 격리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양곡수급안정위원회 협의를 거쳐 이러한 내용의 '수확기 쌀 수급안정대책'을 마련했다고 3일 밝혔다.
농촌진흥청은 올해 벼 작황이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며 평년보다 좋은 것으로 평가했다.
또 최근 쌀 소비량 감소추세를 고려하면 올해도 수급 과잉이 전망된다고 예상했다.
2021년산 쌀은 과잉 생산으로 인해 산지에서 가격이 폭락했는데, 2022년산 쌀도 같은 현상이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농식품부는 수확기 쌀 시장 안정화를 위해 구곡과 신곡을 합쳐 쌀 45만t을 수매해 시장에서 격리하기로 했다. 앞서 지난달 25일 당정협의를 통해 발표한 내용이다.
이는 지난 2005년 공공비축제 도입 이후 시행된 수확기 시장격리 물량 중 최대치다.
농식품부는 이번 수매에 잠정적으로 1조원 정도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장격리 물량과 별개로 정부는 수확기에 공공비축미 45만t을 매입한다.
공공비축미 물량은 지난해보다 10만t 증가했다.
정부가 올해 수확기에 적극적인 시장 격리, 공공비축미 수매 정책을 펴기로 함에 따라 총량으로 거의 100만t에 가까운 물량이 시장에서 격리되는 효과가 생기는 셈이다.
시장에서 격리되는 90만t은 올해 쌀 예상 생산량의 23.3%에 달한다. 통상 수확기 시장에서 격리되는 비율은 8.3∼18.1% 수준이었다.
농식품부는 이번 시장격리 조치를 통해 쌀값이 적정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인중 농식품부 차관은 지난달 25일 브리핑에서 "지금 방식과 가장 비슷하게 시장격리를 했던 2017년에는 수확기 격리 이전에 비해 가격이 13∼18% 올랐다"며 "올해 같은 경우에도 그 정도가 상승하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농가의 수확기 출하 물량을 안정적으로 매입할 수 있도록 산지 유통업체에 매입자금 3조3천억원도 지원할 예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