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신한울원전 운영허가 났는데…발목잡기 왜곡주장에 경북민 '분통'

12차 보고·3회 심의 거쳐…야당 원안위원 지속 문제 제기
신한울 1호기 11월 가동 목표지만…되풀이 되는 성능 검증 속, 원안위 승인 지연 우려
월성원전 안전성 두고 왜곡·과장 주장도…주민 "관광도시 경주 이미지 악영향"

지난해 12월 29일 당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경북 울진군 신한울 3·4호기 건설중단 현장을 방문, 탈원전 정책 전면 재검토와 신한울 3·4호기 건설 즉각 재개 등 원자력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12월 29일 당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경북 울진군 신한울 3·4호기 건설중단 현장을 방문, 탈원전 정책 전면 재검토와 신한울 3·4호기 건설 즉각 재개 등 원자력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한울원자력발전소 전경. 매일신문 DB
신한울원자력발전소 전경. 매일신문 DB

지난 대선에서 정권 교체가 이뤄져 윤석열 정부가 '탈탈원전'을 선언했지만, 원자력발전에 대한 '발목잡기식 주장'은 반복되고 있다.

11월 준공을 앞둔 울진 신한울원전 1호기를 두고 과도한 의혹 제기가 잇따르는 데다 경주 월성원전에 대한 왜곡된 주장도 돌출돼 경북 지역에서 '해도 해도 너무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구미을)에 따르면 신한울 1호기는 12번의 보고와 3번의 심의 끝에 지난해 7월 9일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조건부 운영허가를 받았다. 2014년 11월 한국수력원자력이 허가를 신청한 지 7년 만이다.

현재 시운전 중이나 최종 준공과 본격 가동을 위해선 원안위 최종 검사를 거쳐 가동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신한울 1호기에 설치된 수소제거장치(PAR) 성능을 두고 일부 원안위원의 문제제기가 지속되고 있어 최종 검사가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잖다. 올해 3월부터 9월까지 PAR 성능을 두고 총 12차례 실험을 해 저농도(4%) 수소 조건에서 성능이 만족했지만, 일부 원안위원은 고농도(8%) 조건에서 성능을 확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영식 국민의힘 국회의원
김영식 국민의힘 국회의원

이와 관련, 김영식 의원은 "PAR는 폭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수소를 제거하는 장치"라며 "해당 장치가 10% 이상 농도로 수소가 축적되기 전에(저농도 수소 조건) 제거한다면 수소폭발은 발생하지 않는다. 8% 조건 시험은 우선 가동을 승인한 뒤 향후 보고받아도 된다"고 설명했다.

무리한 주장으로 실험을 반복하게 해 신규 원전의 가동을 지연시키려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경주에서는 지난달 말 '월성원전에서 방사능 오염수가 새고 있다'는 일각의 주장이 제기돼 지역이 발칵 뒤집혔다. 관광으로 먹고사는 지역 특성상 주장이 사실이라면, 원전에 대한 공포감이 퍼져 서민 경제에 미칠 파장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원안위와 한수원이 '이미 누수 여부를 확인한 뒤 추가 누수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는 해명을 내놓는 등 사실 관계 오류를 바로 잡으면서 오염수 누출 주장은 힘이 빠진 모양새다.

경주시 한 관계자는 "원전에 진짜 문제가 있다면 사실에 근거한 적절한 비판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니면 말고'식의 의혹 제기는 도시 대외 이미지도 악화시키고 주민 불안감도 조성하는 만큼 지양해야 한다"고 했다.

김영식 의원 측은 신한울 1호기에 대한 과도한 의혹 제기, 월성원전 오염수 누출 논란 등 최근 이어진 발목잡기식 주장에 대해 오는 7일로 예정된 원안위 국정감사에서 따져 물을 작정이다.

김 의원은 "신한울 1호기 최종 검사와 관련, 원안위 회의에서 벌어지고 있는 비과학적인 주장, 월성원전 안전성에 대한 왜곡된 주장 등에 대해 원안위가 미온적인 대응을 하고 있는 게 아닌지 우려된다"며 "원전 안전에 대해선 철저히 살펴야 하지만 과학적 근거, 전문성 없이 제기되는 행위에는 단호히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