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바이든, 윤 대통령에 친서…"열린 마음으로 '인플레법' 협의 지속"

대통령실 브리핑…"한미동맹 강화·양국 공동목표 달성" 언급도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한 빌딩에서 열린 글로벌펀드 제7차 재정공약회의를 마친 뒤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한 빌딩에서 열린 글로벌펀드 제7차 재정공약회의를 마친 뒤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4일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한미 동맹에 대한 바이든 대통령 명의의 친서를 받았다고 대통령실이 5일 밝혔다.

김은혜 홍보수석은 이날 오후 백브리핑을 통해 "바이든 대통령은 친서에서 '인플레이션 감축법에 대한 윤 대통령의 우려에 대해 잘 알고 있다. 한미 간 솔직하고 열린 마음으로 협의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김 수석은 "미국 의회 상하원을 통과한 법안을 행정부의 수장인 미국 대통령이 직접 친서를 통해 우리 측 우려에 대해 분명한 이해를 표명한 것, 또 우리 기업에 대한 확신과 신뢰를 밝힌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찬서의 의미를 설명했다.

또 바이든은 이 친서에 '한미 동맹을 강화하고, 양국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한국과 함께 핵심적인 역할이 수행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확신한다'고 적었다.

이에 대해 김 수석은 "양국 공동의 목표라고 하는 것은 한반도의 동북아 평화, 그리고 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양국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반영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번 바이든 대통령의 친서는 양 정상이 지난달에 런던과 뉴욕에서 여러 차례 만나 인플레 감축법과 관련해 협의한 결과를 토대로 작성된 것이라는 게 대통령실의 얘기다.

김 수석은 "바이든 대통령이 직접 서명한 서한을 통해 우리 측 우려에 대한 이해를 재차 표명했고, 또 한국기업의 긍정적인 역할에 대해서도 명확히 언급함으로써 윤 대통령에게 향후 한국 기업을 배려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해석했다.

한편 대통령실 관계자는 잇따른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과 관련해선, 한미 양국이 외교장관, 그리고 안보실장을 포함한 모든 레벨에서 실시간으로 긴밀히 소통하면서 공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북한의 이 같은 연이은 도발에 대해 '제7차 핵실험으로의 가능성을 높여가기 위해 단계별 시나리오를 밟아가는 게 아닌가 판단된다'는 해석도 내놨다.

이 관계자는 "북한 미사일의 사거리가 계속 증가하고 있고, 미사일 관련 플랫폼도 계속 바뀌고 있다"며 "IRBM(중거리 탄도미사일), 또 앞으로는 혹시 다른 미사일로의 도발이 있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을 정도"라고 말했다.

또 북한의 최근 잇따른 도발 이전이든 이후든 늘 한미 양국, NSC(국가안전보장회의) 간 긴밀한 소통은 이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미 동맹의 성격은 레토릭에 그치지 않는 실질적인 행동하는 동맹이라고 표현하고 싶다"며 "실질적인 액션을 수반하는 그런 동맹 차원의 한미 안보 협력과 군사 협력, 그리고 한미일 안보 협력 또한 앞으로 지속적으로 북한의 긴장 고조 움직임과 함께 이행될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은 6일 기시다 일본 총리와도 전화 통화를 가질 예정"이라고 전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