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美 견조한 고용에 긴축 예상…뉴욕증시 급락, 나스닥 3.8%↓

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주변의 가로등이 월스트리트 도로 표지판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주변의 가로등이 월스트리트 도로 표지판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9월 고용보고서 발표로 크게 밀렸다. 예상보다 견조한 고용 지표에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고강도 긴축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30.15포인트(2.11%) 하락한 29,296.79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04.86포인트(2.80%) 밀린 3,639.66으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20.91포인트(3.80%) 떨어진 10,652.40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발표된 9월 고용보고서가 여전히 고용시장이 탄탄하다는 점을 확인시켰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9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26만3천 명 증가해 전월의 31만5천 명 증가보다 적게 늘어났다. 이날 수치는 시장의 예상치인 27만5천 명 증가를 밑돌았으며, 2021년 4월 이후 가장 적게 늘어난 것이다.

그러나 실업률은 3.5%로 전달의 3.7%에서 하락해 반세기래 최저 수준이었던 7월 수치로 되돌아갔다. 시간당 임금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 올라 전달의 5.2% 상승에서 하락했다.

경기침체 우려에도 여전히 실업률이 반세기래 최저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점은 연준이 고강도 긴축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을 강화했다.

미 금리 선물 시장에 반영된 연준의 11월 0.75%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은 고용 보고서 발표 이후 80% 이상으로 상승했다. 전날에는 70%대였다.

연준이 11월에도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하면 네 차례 연속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인상)'에 나서는 것이다.

고용 지표 발표 이후 국채금리가 오르고, 달러화 가치가 상승했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금리는 7bp가량 오른 4.31%를 기록했고, 10년물 국채금리는 6bp가량 상승한 3.89%를 나타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ICE 달러지수는 지표 발표전 112.030 수준에서 지표 발표 후 112.827까지 올랐다.

국제유가가 오름세를 보인 점도 연준의 고강도 긴축에 대한 우려를 강화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 11월물 가격은 배럴당 92달러를 넘어섰고, 브렌트유 12월물 가격은 배럴당 98달러까지 올라 100달러에 육박했다.

▶S&P500지수 내 11개 업종이 모두 하락했으며, 기술주가 4% 이상 하락하며 약세를 주도했다.

임의소비재 관련주도 3% 이상 하락했고, 통신, 자재(소재), 부동산, 금융, 헬스 관련주가 모두 2% 이상 떨어졌다.

개별 종목 중에 반도체 업체 AMD의 주가는 회사가 개인용컴퓨터(PC) 수요가 약화하고 있다면서 3분기 매출이 기존 전망치를 크게 밑돌 수 있다고 밝히면서 13% 이상 하락했다.

엔비디아와 인텔의 주가도 각각 8%, 5% 이상 하락하며 동반 추락했다. 테슬라는 6.3% 크게 하락했다. 테슬라는 이번 주 주가가 16% 폭락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5.1%, 아마존은 4.8%, 애플은 3.7% 내려갔다.

스포츠 베팅업체 드래프트킹스의 주가는 회사와 스포츠 전문 TV 방송국인 ESPN과의 제휴가 임박했다는 소식에 3% 이상 올랐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