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尹대통령 "우크라에 무기 준 적 없어…공공 연구기관 블라인드 채용 폐지"

28일 출근길 문답서 푸틴 경고에 대한 입장 밝혀…"어디까지나 우리 주권의 문제"
과학기술자문회의서는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이 우수 인력 확보 가로막아"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28일 블라드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제공할 경우 한·러 관계가 파탄 날 것'이라고 경고한 것과 관련, "살상 무기나 이런 것을 공급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위와 같이 말하면서도 "그렇지만 어디까지나 우리 주권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인도적·평화적 지원을 국제사회와 연대해 왔다"며 "러시아를 포함한 세계 모든 나라와 평화적이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지난 27일(현지시간) 모스크바에서 열린 국제 러시아 전문가 모임인 '발다이 클럽' 회의 중 우크라이나 상황과 국제 정세를 논의하는 자리에서 한국을 언급했다.

푸틴 대통령이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와 탄약을 제공하기로 한 것을 알고 있다"고 얘기했다는 것이다.

우리 정부는 그간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제외한 방탄 헬멧, 천막, 모포 등 군수물자와 의료물자, 인도적 지원 등을 제공했지만 살상 무기는 지원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내왔다. 푸틴 대통령의 한·러 관계 파탄 등 한국을 향한 경고에 윤 대통령이 직접 '무기 공급 사실이 없다'고 선을 그으며 불필요한 논란을 차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후 이어진 오전 일정에서 윤 대통령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회의에 참석해 전임 문재인 정부에서 도입된 공공 연구기관의 '블라인드 채용' 폐지 방침을 밝혀 눈길을 끌었다.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회의 모두발언에서 윤 대통령은 "최근 몇 년 동안 우수 연구자 확보를 가로막았던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은 연구기관에 대해 우선적으로 전면 폐지하겠다"고 말했다.

전임 문 정부는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겠다며 지원자 출신 지역, 학력 등이 채용 과정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블라인드 채용 제도를 지난 2017년 도입했다. 하지만 학계 일각에서는 '깜깜이 심사'로 우수 연구인력을 뽑지 못 하게 하는 제도라고 지적해 왔다. 이에 따라 대통령인수위원회 과학기술교육분과는 학계, 정부출연연구기관 관계자와 간담회를 하고 블라인드 채용 개선안 등을 논의한 바 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등을 12대 국가전략기술로 선정하는 내용의 '국가전략기술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육성 방안을 차질 없이 추진해 2027년까지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 디지털 경쟁력 지수 세계 3위를 달성하고 선도국 대비 기술 수준이 90% 이상인 전략 기술 분야를 8개 이상으로 확대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