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압사 참사'와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은 사고 발생 46분 만인 오후 11시 1분에 최초 보고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은 2일 오후 브리핑에서 "지난 29일 밤 10시 15분에 사고가 발생했고, 38분 뒤인 밤 10시53분 소방청 상황실에서 대통령실 국정상황실로 사고 내용을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어 "사고 상황을 확인한 국정상황실장은 밤 11시 1분 윤 대통령께 사고 발생 사실을 보고했고, 이후 대통령은 사고 내용과 사상자 발생 가능성 등을 보고 받고 현장 대응 상황을 점검한 뒤 밤 11시21분 첫 지시를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 부대변인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첫 지시는 오후 11시 29분 대변인실로 전달됐고, 오후 11시 36분 언론에 배포됐다.
당시 지시 내용은 행정안전부 장관을 중심으로 모든 관계 부처 및 기관에서 피해자들에 신속한 구급과 치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 달라는 것이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오후 11시 54분 부상자에 대한 보고를 받고, 보건복지부에 응급의료체계를 신속하게 가동해 응급의료팀을 파견하고 인근 병원에 응급 병상 확보를 신속하게 실시하라고 추가 지시를 내렸다.
이와 함께 행정안전부에도 모든 관계 부처, 기관과 함께 피해 국민에 대한 신속한 구급치료를 실시할 수 있길 바란다는 지시 사항을 전파했다.
이 같은 2차 지시 내용은 30일 오전 0시 16분 언론에 배포됐다.
이 부대변인은 "윤 대통령은 0시 42분 대통령실 위기관리센터에서 긴급 상황 점검 회의를 주재했다"며 "그 이후 대응 상황은 이미 취재진에게 말씀드린 바 있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경찰 보고 시간은 언제인가'를 묻는 질문에는 "최초 보고 시점과 보고 경로를 말씀드린 것"이라며 "그 이후 다양한 채널을 통해 상황이 실시간으로 대통령에게 전달됐다"고 말하면서 즉답을 피했다.
주무부처 장관인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경질돼야 한다는 일각의 주장에는 경찰의 내부 감찰 및 수사 과정을 먼저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또 '이 장관 책임론이 점점 커지고 있다. 부적절한 발언에 이어 대응이 미숙했다는 정황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는 지적에 "누가, 얼마나, 무슨 잘못을 했는지 철저한 감찰과 수사 진행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사실관계 이외에 정무적인 책임은 어느 정도까지 검토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도 "누가, 얼마나, 무슨 잘못을 했는지 감찰과 수사를 통해 드러날 것"이라고 반복하면서 "정무적 책임 또한 사실관계를 기반으로 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된다. 사실관계를 기반으로 판단이 이뤄지지 않을까 추측한다"고 했다.
'윤 대통령이 국정을 통할하는 수장으로서 대국민 사과나 유감을 표명할 가능성은 없느냐'는 질문에 "지난달 31일 확대 주례회동에서 국민 생명과 안전을 책임진 대통령으로서 말할 수 없는 슬픔과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한 바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특히 어제(1일) 저녁 이번 사고로 돌아가신 분의 빈소를 찾아서 '국가가 제대로 지켜드리지 못해 대통령으로서 죄송하다'고 말한 바 있다"면서 "사고 직후 대국민 담화에서도 슬픔을 가누기 어렵다고 말했고, 윤 대통령은 이번 사고와 관련해 누구보다 가슴 아파하고 무한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고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