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무 뽑듯 30명 목숨 구한 외국인 의인 찾았다…동두천 근무 주한미군

3일 오전 지난달 29일 압사 참사가 일어난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인근 골목의 모습. 연합뉴스
3일 오전 지난달 29일 압사 참사가 일어난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인근 골목의 모습. 연합뉴스

"키 182cm, 몸무게 96kg인 저를 무 뽑듯이 들어올려 구출해준 은인에게 감사 인사를 하고 싶습니다."

이태원 참사 생존자인 20대 A씨가 애타게 찾던 자신을 구해준 은인은 주한 미군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경기도 동두천시 캠프 케이시에 근무하는 자밀 테일러(40), 제롬 오거스타(34), 데인 비타스(32) 등 3명의 미군이었다.

A씨는 지난 29일 친구들과 핼러윈데이를 맞아 이태원을 찾았다가 해밀톤호텔 옆 좁을 골목의 인파 속에서 넘어져 4명의 남성에게 15분가량 깔려있었다.

'이대로 죽는구나' 하며 체념하고 있던 A씨를 구해준 건 건장한 흑인 남성 등 외국인으로, A씨는 구조 당시 "(의인이) 자신을 밭에서 무 뽑듯이 인파 속에서 구조했다"고 회고했다.

이 흑인 남성은 A씨의 팔과 겨드랑이를 잡더니 인파 속에서 자신을 구조했고, 골목 옆 한 술집에 데려다 놓은 뒤 다른 외국인 2명과 함께 구조 활동을 이어갔다고 A씨는 전했다.

A씨는 "우리가 갇혔던 곳은 골목의 중간 위치여서 구급대가 제일 늦게 접근한 곳이고 구조가 늦어질 수밖에 없었다"며 "이들 외국인 3명은 술집이나 클럽 직원이 아닌 듯했는데 무려 30명가량을 구조했고, 119구급대원들이 출동한 후 조용히 사라졌다"고 전했다.

A씨는 "은인을 찾아 꼭 감사하다는 말을 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이후 A씨는 이들이 지난 30일 AFP 통신과 진행한 인터뷰 내용을 보고 자신을 구해준 은인과 동일 인물임을 확신했다. A씨의 지인이 AFP 보도를 먼저 접한 뒤 A씨에게 알려준 것이다.

테일러 등 주한미군 3명은 AFP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주말 비번을 맞아 핼러윈 축제를 보기 위해 이태원을 찾았다가 참사 위기에 놓였으나 간신히 골목 옆 난간으로 피신한 후 깔린 사람들을 보고 구조에 나섰다고 밝혔다.

테일러는 인터뷰에서 "우리가 군중에서 빠져나온 뒤 잠시 후 사람들이 도미노처럼 서로의 위로 쓰러지기 시작했다"며 "모두가 공황 상태에 빠졌고 상황은 더 악화됐다. 비명소리가 모든 소리를 삼켜버렸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이들은 119 구급대가 도착해 본격적인 구조활동이 이뤄질 때까지 깔린 사람들을 인파 속에서 꺼내 근처 클럽으로 대피시켰다고 말했다. 또 도착한 구조대원들이 심폐소생술(CPR)을 할 수 있도록 희생자들을 넓고 안전한 곳으로 끌어내기도 했다.

비타스는 "좁은 골목에 사람들이 꽉 끼여 있었기 때문에 구조대원들도 쉽게 그들을 구출할 수 없었다"며 "우리는 밤새 깔린 사람들을 구조했다"고 말했다.

오거스타는 "우리는 덩치가 큰 덕에 빠져나왔지만 바로 상황이 악화하며 재앙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이들은 입을 모아 자신들은 운이 좋아 살아남았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