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대기, 野 '대통령실 이전 비용 1조원 이상' 주장에 "가짜, 견강부회"

"대통령실 이전은 '독재·무한권력' 상징 청와대를 국민 품에 돌려드린 것"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9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9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대통령실 이전 비용이 1조800억원에 달한다는 더불어민주당 주장에 "가짜(뉴스)"라고 반박했다.

김 실장은 9일 오후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양경숙 민주당 의원이 "(용산 대통령실 이전비용이) 민주당은 1조800억원이 들어간다, 국방부는 최소한 5천억원 이상이 필요하다고 전망한다"고 지적하자 "1조원(이상)이라는 것도 가짜"라고 선을 그었다.

김 실장은 "미국 잔류기지 대체부지는 미군이 떠나면서 수용하게 돼 있는 것이며 합동참모본부 이전은, 용산에 있어도 되고 다른 데 가도 되는, 아무런 이전 계획도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무경 국민의힘 의원이 "대통령실 이전은 역대 정부들도 필요성을 공감하고 추진한 사안이다. 새 정부에서 실행에 옮긴 대통령실 이전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라고 묻자 김 실장은 "권력의 상징, 독재의 상징, 무한권력의 상징인 청와대를 국민의 품에 돌려드린 것"이라고 답했다.

김 실장은 또 '민주당이 주장하는 국방부 통합재배치와 경호부대 이전, 삼청동 외교부 공관 개선 비용도 대통령실 이전 비용이라고 주장하는 데 직접적인 연관이 있나'라는 한 의원 질의에는 "비용(추계의) 정확한 원인이 있고 그 다음에 결과가 있어야 되는데 너무 견강부회"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저희(대통령실)보다 국가 재정을 제일 정확히 보는 기획재정부에서 판단해달라고 해서 기재위에서 판단한 게 517억원"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9월 30일 더불어민주당 대통령실 관련 의혹 진상규명단은 4차 회의에서 대통령실 최소 이전 비용 추산 규모를 공개했다.

진상규명단에 따르면 대통령실 이전에 드는 비용은 총 1조794억8천700만원이다. 여기에는 ▷기존 대통령실 이전 비용으로 발표된 496억원 ▷예비비 및 예산 이용·전용 368억5천100만원 ▷2023년 예산안에 포함된 각 부처 별 예산 1539억 1천900만원 ▷2024년 예산안에 포함 예정인 411억 1천700만원 ▷합참 이전 등 향후 발생할 최소 비용 7천980억원과 영빈관 신축예산이 포함됐다.

경호 관련 규제로 용산 일대 개발이 제한되는 등 여파를 고려하면 이보다 더 많은 비용이 들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