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미 정의당 대표가 대통령의 동남아 순방길에서 MBC 취재진 전용기 탑승을 배제시킨 대통령실 조치에 대해 "대통령이 스스로 자신의 가치와 철학을 부정을 하는 것인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11일 오전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나와 "대통령께서 입만 열면 자유를 계속 얘기를 하시는 분"이라며 자유민주주의의 핵심 가치 중 하나가 언론 자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한 마디로 대통령 해외순방 때 항상 대통령의 말씀 때문에 외교 참사가 자처가 됐었는데, 본인 스스로의 어떤 실수나 잘못을 돌아보시지 않고, 언론에 재갈을 물리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에 유감스럽다"고 했다.
이 대표는 '언론도 책임 의식이 있어야 하고 취재 거부의 자유도 있다', '전용기 탑승만 못할 뿐이지 취재를 불허한 건 아니다'는 여권 일각의 지적에 대해선 "대통령 말씀을 걸러서 보도하는 것이 언론의 책임 의식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언론의 기능을 왜곡하는 말이고, 전용기 탑승이 취재를 불허하는 것이 아니라는 말도 사실에 맞지 않는 얘기"라며 "그 전용기 자체가 하나의 보도의 현장이고, 공적인 자리"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 대표는 이태원 압사 참사와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등과 국정조사를 추진하는 데 대해선 "대통령의 인식을 전환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대통령께서 소위 국민의힘 '윤핵관'들한테 전화해서 왜 이상민 장관 못 지켜 주냐고 호통을 치셨다고 하는데, 이게 지금 대통령의 인식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것"이라며 "자기 사람 지키기에 정신이 없는 상태를 극복하지 못하면 하부 기관이 다 똑같다"고 비판했다.
이 대표는 국회 운영위원회의 대통령실 국정감사 도중 '웃기고 있네'란 필담을 나눈 김은혜 홍보수석과 강승규 시민사회수석을 언급하며 "대통령이 이런 인식을 갖고 있으니 비서실에 있는 사람들이 이런 얘기를 하는 것 아닌가"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이 문제에 대해서 철저하게 자기가 지금 대통령인지, 아닌지에 대해서 돌아봐야 하는 상황"이라며 "대통령의 인식이 바뀌어야 하고 그 인식 전환의 첫 번째 단추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윤희근 경찰청장 파면으로부터, 한덕수 국무총리 경질부터 시작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 정쟁의 정점에 대통령이 서 있다. 대통령이 자중을 좀 했으면 좋겠다"며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두 수석에 대한) 퇴장 조치는 최소한의 장치로 그것을 가지고 뭐라고 한다면 대통령이 이 상황의 엄중함을 1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