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13일 아세안 정상회의가 열린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갖고 45분 동안 대북 공조 등의 현안을 조율했다.
이날 회담에서 두 정상은 최근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 및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하고 중대한 도발 행위로 규정하고 강력히 규탄했다.
또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유엔 안보리 차원의 대응과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를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지난 11일 발표한 '자유, 평화, 번영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설명했고, 기시다 총리는 일본이 내년 봄까지 새로운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계획'을 발표 예정이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양 정상은 상호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해 환영을 표하면서, 포용적이고 복원력 있으며 안전한,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을 추구하기 위해 연대해 나가자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특히 양국 간 현안과 관련해 외교 당국 간에 활발한 소통이 이뤄지고 있음을 평가하고, 조속한 해결을 위해 계속 협의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최근 양국 인적교류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음을 환영하고, 양국 국민 간 인적 교류 확대에 대한 기대도 나타냈다.
윤 대통령 취임 후 기시다 총리와 만나 양자 회담 형식을 취한 것은 지난 9월 뉴욕 유엔총회 때 약식으로 진행된 회담에 이어 두 번째다.
2개월 만에 다시 두 정상 간 회담이 성사되면서 양국 관계 복원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최근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도발과 핵 실험 가능성이 한일 양국 간의 공조의 주요한 계기가 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한미일 안보협력이 일종의 추동 역할을 하지 않았나 생각한다"며 "한일 정상 모두 긴밀한 소통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측의 분위기 변화도 감지되고 있다. 지난 9월 뉴욕 회담 당시엔 양국 정상 만남을 '간담'이라며 애써 의미를 축소했지만 이번엔 오히려 한국 보다 먼저 언론을 통해 공식적인 한일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알리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