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동자의 근로 시간이 지난 10년간 10%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한국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과 근로 시간 격차도 대폭 줄었다. 그럼에도 OECD 평균보다는 연간 약 200시간 넘게 많았다.
14일 OECD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근로 시간은 연간 1천915시간으로 OECD 38개 회원국 중 5위였다. 멕시코가 2천128시간으로 1위이며 코스타리카(2천73시간), 콜롬비아(1천964시간), 칠레(1천916시간) 등 중남미 4개국이 1~4위에 포진했다.
독일은 1천349시간으로 가장 적었다. 한국의 근로 시간은 독일의 1.4배로 566시간 많았다. 또 덴마크(1천363시간)와 룩셈부르크(1천382시간), 네덜란드(1천417시간), 노르웨이(1천427시간) 등 유럽 선진국들의 근로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미국은 1천791시간으로 8위, 일본은 1천607시간으로 21위였다.
OECD 평균 근로 시간은 1천716시간이다. 한국이 OECD 평균보다 199시간 많았다. 지난해 한국 근로 시간은 10년 전인 2011년보다 10.3%(221시간) 정도 줄어든 것이다. 지난 2011년에는 한국의 근로 시간이 2천136시간으로 OECD 회원국 중 1위였다.
코스타리카가 2천285시간으로 더 많긴 하지만 코스타리카는 작년 5월 OECD에 가입한 국가로 2011년 당시 OECD 회원국이 아니었다. 콜롬비아는 2018년 가입했다.
OECD 회원국의 평균 근로 시간은 2011년 1천772시간에서 지난해 1천716시간으로 3.2% 줄어든 것을 고려하면 한국의 근로 시간 감소 폭이 OECD의 3배가 넘었다.
이 때문에 한국과 OECD 평균과의 격차가 크게 줄었다. 지난 2011년에는 한국의 근로 시간이 2천136시간으로 OECD 평균(1천772시간) 대비 364시간(20.5%) 많았지만, 지난해에는 한국 1천915시간으로 OECD 평균(1천716시간)보다 199시간(11.6%) 많았다.
한국에서는 지난 2004년 주5일제 근무제가 시행되기 시작했고 2018년 7월부터는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된 덕분으로 풀이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