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각) "(글로벌 경제) 위기에 대응하는 해법 역시 공급 측면에서 찾아야 하며 정부의 역할 또한 바뀌어야 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현재 글로벌 여건 속에서 민간이 중심이 되는 공급측 혁신의 핵심은 디지털 전환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B20 서밋(Summit)에서 '글로벌 복합위기 극복을 위한 기업의 역할, 그리고 디지털 전환 시대의 글로벌 협력'이라는 제하의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B20 서밋은 2010년 서울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출범한 민간 회의체다. 경제계 시각에서 세계 경제성장을 위해 필요한 정책 과제를 발굴·채택하고 이를 G2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윤 대통령은 "세계 경제는 또다시 복합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역사적으로 볼 때 글로벌 경제위기는 반복되어 왔지만, 위기는 조금씩 다른 모습을 보여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글로벌 경제) 위기는 수요측 요인보다는 공급측 충격이 크게 작용했다"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금융시스템의 붕괴로 인해, 2020년 팬데믹 위기는 방역을 위한 봉쇄조치로 인해 총수요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세계 경제가 큰 충격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이번 위기는 수요측 요인보다는 공급측 충격이 크게 작용했다. 팬데믹 회복 과정에서의 공급망 차질, 다양한 지정학적 갈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산비용은 올라가고 공급 역량은 축소됐다"며 위기 해법을 공급 측면에서 찾아야 하고 정부의 역할도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현재 글로벌 여건 속에서 민간이 중심이 되는 공급측 혁신의 핵심은 '디지털 전환'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디지털 기술이 기존의 산업, 데이터와 결합하며 비용 절감과 동시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비즈니스가 일어나고 있다"며 "한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민간 주도 성장'에서도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부분이 디지털 전환"이라고 밝혔다.
이어 "디지털 기업들이 아날로그 시대의 규제에 발목 잡히지 않도록 낡은 규제를 혁신하고, 자율규제를 원칙으로 하는 비즈니스 친화적 디지털 규제 환경을 만들어 가고 있다"며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교육, 직업훈련 개혁에도 착수했다. 인공지능, 차세대 통신, 사이버 보안과 같은 핵심 디지털 분야의 기술 개발도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