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러 "협상 전 4곳 점령지 병합 먼저" vs 우크라 "점령지서 러시아 군 철수"

'영토 반환' 문제 놓고 양국 평행선

2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벨라루스 접경지인 지토미르에서 훈련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2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벨라루스 접경지인 지토미르에서 훈련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내년 2월 말 전쟁 1주년을 앞두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평화 협상론'이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양국은 '점령지의 러 연방 병합'과 '러시아군 전면 철수'를 각각 선결 조건으로 내세우며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28일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평화 정상회의'를 하자는 우크라이나 제안에 대해 "우크라이나 내 4곳 지역이 러시아에 병합된 소위 '새 현실'을 고려해야 한다"고 답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지난달 15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화상 연설을 통해 이른바 10가지 '평화 공식'(Peace Formula)을 제안한 바 있다.

사실상 종접 협상을 위한 10가지 제안으로, ▷방사선(원전) 및 핵무기 안보 ▷식량 안보 ▷에너지 안보 ▷모든 포로 및 민간인 억류자 석방 ▷유엔 헌장 이행 ▷러시아 군 철수 및 적대 행위 중단 ▷정의 실현 ▷환경 파괴 방지와 환경 보호 ▷전쟁 격화 방지 ▷전쟁 종식 확인 등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주요 7개국(G7) 정상들에게 "올겨울 세계 평화 정상회의 구상을 지지해달라"고 촉구했다.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 역시 내년 2월 평화협상론을 언급했다. 그는 지난 26일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유엔 중재로 내년 2월 말까지 평화협상이 열리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모든 당사자가 원할 경우 유엔은 중재할 준비가 돼 있다"고 화답했다.

내년 2월 말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약 1년이 되는 시기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측의 '평화 협상' 제안에도 두 나라는 '영토 반환' 문제를 놓고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지난 9월 말 러시아가 강제 병합한 점령지역 4곳(루한스크, 도네츠크, 자포리자, 헤르손)에 더해 크림반도까지 모두 반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와 협상할 의사는 있다고 밝혔으나, 그 전제로 친러시아 분리주의 세력이 있는 크림반도와 점령지의 러시아 영토 병합을 주장하며 맞서는 상황이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26일 타스통신 인터뷰에서 "러시아의 새로운 영토 4곳"에 대한 러시아의 제안을 이행하지 않으면 군사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거듭 엄포를 놨다. 그는 "너무 늦기 전에 제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러시아군은 이를 달성하기 위해 스스로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러시아는 지난 9월 우크라이나 도네츠크, 루한스크, 자포리자, 헤르손 등 4곳 점령지에서 주민투표 진행해 찬성 결과를 얻어 러시아 연방 병합을 발표했다.

다만 헤르손 지역의 경우 한 달 뒤인 10월 러시아군이 후퇴하면서 우크라이나군이 통제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