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진표 의장 "국회 개헌특위로 선거법 개정…불체포특권은 공론화 필요"

신년 기자간담회서 개헌 의지밝혀…"비례성 강화한 내각제"
"국회의장으로서 불체포 특권은 동의할 수 밖에…다만 공론화 필요"

김진표 국회의장이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신년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진표 국회의장이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신년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진표 국회의장은 11일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여야 합의를 통해 '국회 헌법개정 특별위원회'를 출범시키겠다"고 밝혔다.

김 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 사랑재에서 "비례성을 강화하고 다당제가 도입되도록 해서 지역 간, 정치세력 간 협치가 가능하게 한다는데 많은 사람이 공감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제헌절 당시 선거제도 개편을 촉구한 데 이어 이번에는 개헌 실현을 위한 로드맵까지 제시하며 개혁 의지를 재차 피력한 것이다.

김 의장은 "여야가 장시간 토론을 통해서 2월 말까지 안을 만들어 달라고 말했다"면서 "그것을 전원위원회에 회부해서 300여 명 국회의원이 공론화 과정을 거치면 약 200명이 서명할 수 있는 선거법 개정안을 만들면 3월까지는 선거법 개정이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이는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단수가 아닌 다수의 선거법 개정안을 마련한 뒤 국회 전원위원회가 심의·의결하게 하자는 김 의장의 주장이다.

또 "개헌특위가 발족하면 산하에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해 국민참여형 개헌에 본격 착수할 수 있을 것"이라며 "공론화위는 개헌특위가 요청하는 쟁점 사항에 대해 여론조사와 국민 공론조사를 체계적으로 실시해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아내겠다"고 설명했다.

다만 김 의장은 국민여론은 내각제에 찬성이 많다는 점을 강조하며 "국무총리와 국회에 더 큰 권한을 줘야 하지 않나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방탄 논란에 맞물려 현재 많은 비판을 받는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에 대해서는 "의장으로서 불체포특권은 집행할 수밖에 없다"며 옹호 입장을 나타냈다.

다만 김 의장은 "개헌 논의 과정에서 일부 전문가들이 국회의원 수를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있는 반면, 국회의원 수를 줄여서 예산안이 늘어나지 않는 선에서 국회의원 권한을 더 부여하되 불체포 특권은 좁혀야 한다는 주장이 있는데, 이 문제는 공론화 과정을 통해서 잘 논의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도 했다.

민생·경제와 관련해서는 "우리 기업과 국민이 겪을 고통을 조금이라도 줄이고, 우리 경제에 새로운 희망을 만들어내는 것을 당면 목표, 지상 과제로 삼자"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