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요금과 전기요금 등 난방비가 지난해 꾸준히 오른 상황에서 올 겨울 최강 한파까지 몰아치면서 난방비 부담을 떠안은 서민들의 시름이 더 깊어지는 모습이다.
최근 '맘카페' 등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난방비가 크게 오른 '12월 관리비 고지서' 인증 글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이들은 아파트 관리비 고지서나 가스요금 고지서 사진을 공유하면서 지난해와 대비해 가스비가 올라 부담이 크다고 한 목소리로 토로했다. 어떤 이들은 가스비만 2배가량 올랐다고 토로했다.
네티즌 A씨는 총 48만원의 12월 관리비 가운데 난방비와 급탕비만 각각 23만원, 6만원이 청구됐다고 했다. 11월보다 각각 15만원, 1만원이 올랐다.
해마다 겨울철 가스비가 23만원 정도 나온다는 단독주택 거주자 B씨는 12월 가스비만 31만원 가량이 청구됐다고 했다.
지난해 가스 요금 인상 여파가 난방 수요가 크게 느는 겨울철 '난방비 폭탄'으로 돌아온 셈이다.
▶한국도시가스협회 등에 따르면 이달 서울 도시가스 소매요금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약 38% 올랐으며, 지역난방 가구에 부과되는 열 사용요금 역시 지난 한 해 38% 상승했다.
도시가스 요금은 난방 연료인 액화천연가스(LNG)를 수입하는 한국가스공사가 도매 요금을 책정한 뒤 각 시·도가 공급 비용을 고려해 소매 요금을 결정하는데, 지난해 가스 도매요금은 주택용을 기준으로 네 차례(4·5·7·10월)에 걸쳐 5.47원 올라, 1년 새 인상률은 42.3%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영향으로 글로벌 에너지 수급난이 가속하면서 국내 LNG 수입액이 567억달러(약 70조원)로 급증한 탓이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개별 난방 방식보다 중앙난방이나 지역난방 방식에서 난방비 인상 폭이 더 크다는 속설이 돌기도 했다.
그러나 이는 현행 난방비 산정 방식으로 보면 근거가 미약하며, 오히려 난방방식 자체보다는 설비와 주택 노후화에 난방비가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게 전문가의 의견이다.
▶더 심각한 것은 설 연휴 마지막날부터 전국에 몰아친 한파로 난방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여 1월 난방비는 전월보다 더 많이 나올 것으로 우려된다는 점이다.
난방비 외에도 전기요금을 비롯한 그 밖의 공공요금도 일제히 올랐기 때문이다.
전기료는 지난해 세 차례(4·7·10월)에 걸쳐 kWh(킬로와트시)당 19.3원 오른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만 13.1원 급등하며 2차 오일쇼크 시기였던 1981년 이후 42년 만에 최고 인상 폭을 기록했다.
전기난로나 온풍기, 라디에이터와 같은 난방 장치는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난방비 인상 체감도를 높이는 요인이다.
▶작년 말 정부는 올해 1분기 전기요금을 올리면서도 겨울철 난방비 부담 등을 고려해 가스요금을 동결한 상태다.
하지만 지난해 말 기준 가스공사의 누적 손실이 약 9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는 만큼 정부가 2분기부터는 가스요금을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중론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