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동해안 해녀의 주 수입원은 미역과 성게인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2022년 경상북도 나잠어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나잠어업 활동으로 채취한 수산물 중 판매금액이 높았던 품종은 미역 75.7%, 성게 21.3%, 전복 1.5%, 해삼 0.7% 순으로 조사됐다.
나잠어업이란 산소 공급 장치 없이 잠수한 후 낫·호미·칼 등을 사용해 패류, 해조류 등의 수산동식물을 포획하거나 채취하는 어법으로 전통적으로 해녀와 해남이 활동하고 있다.
나잠어업을 시작한 지역은 경북 93.5%, 제주 5.8%, 울산 0.4%였고 시작 나이는 20대 42.8%, 10대 23.4%, 30대 16.8%로 평균 시작나이는 27.9세로 나타났다.
종사기간은 40년 이상 64.1%, 30~40년 미만 15.7%, 10년 미만 7.6%로 평균 종사기간은 40.5년이었다.
앞으로 나잠어업에 몇 년간 더 종사할 계획인지에 대해서는 5~10년 미만 32.8%, 1~5년 미만 27.0%, 10~15년 미만 26.5%로 나타났다.
경북 나잠어업인의 고향은 경북 84.3%, 제주 9.2%, 울산 2.5%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2021년 12월 말 기준 도내 나잠어업을 등록한 어업인 1천370명 가운데 2021년 한 해 동안 나잠어업 등을 수행한 1천52명의 나잠어업 실태를 확인했다. 응답자는 952명으로 응답률은 90.5%이다. 조사는 면접으로 진행됐다.
최순규 경북도 빅데이터과장은 "처음 실시한 나잠어업 실태조사로 맞춤형 정책을 펼칠 통계 자료가 구축됐다"며 "앞으로도 지역맞춤형 통계를 적극 개발해 도가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택배 멈춘 새벽, 시작도 못 한 하루…국민 분노 치솟는다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원전 재가동 없이는 AI 강국도 없다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실핏줄 터졌다"는 추미애…주진우 "윽박질러서, 힘들면 그만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