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덕수 총리 "에너지 지원 포퓰리즘, 민주주의 해치는 가장 큰 해악"

한 총리, 기자간담회… "中확진자 감내할만하면 2월말 전 비자제한 해제 검토"

한덕수 국무총리가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총리실 기자단 간담회에 참석해 국내외 현안과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총리실 기자단 간담회에 참석해 국내외 현안과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는 31일 올 겨울 난방비 폭등 문제와 관련해 "에너지 지원 포퓰리즘은 정말 민주주의를 해치는 가장 큰 해악"이라고 비판했다.

전임 문재인 정부에서 에너지 가격 인상이 제때 이뤄지지 않은 점과 더불어민주당의 7조원 규모 '에너지 고물가 지원금' 지급안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 총리는 이날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포퓰리즘을 제대로 억제하거나 개선하지 못한다면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앞날도 암울하고 위협을 받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한 총리는 "국제적인 경제 환경 등 때문에 (에너지) 가격을 조정해야 하는데도 가격을 억지로 억제하는 것은 오랫동안 지속 가능하지 않은 정책이기 때문에 포퓰리즘의 전형"이라며 "그런 일이 최소화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 총리는 윤석열 대통령이 전날 재가한 1천800억원 규모 가스비 지원책에 대해선 "합리적인 에너지 취약자 지원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고 우리가 할 수 있는 능력 안에 있다고 판단한다면 포퓰리즘 범주에 들어간다고 생각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전날에도 난방비 인상 등과 관련해 시장 상황에 맞게 가격을 조정하지 않는 정책은 '포퓰리즘'이라고 규정했다.

한 총리는 전날 국무회의에서 "한파와 가스비 등 공공요금 인상이 겹쳐 국민들이 느끼는 고통에 마음이 무겁다"며 "그러나 국민들이 불편해한다고 해서 장기간 조정해야 할 가격을 시장에 맞서 조정하지 않고 억누르는 정책은 추후 국민들께 더 큰 부담을 드리고 경제에 악영향을 끼치는 포퓰리즘 정책에 다름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전임 문재인 정부가 최근 몇 년간 난방비 인상 요인이 있었음에도 가격을 올리지 않아 이번 '난방비 폭탄' 사태가 초래됐다는 시각을 우회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해석됐다.

아울러 한 총리는 정부가 중국인 단기비자 발급제한 조치를 이달 말에서 다음 달까지 연장한 것과 관련 "중국인 코로나19 PCR(유전자증폭) 검사 결과 등을 파악해 보고 감내할만하다고 판단되면 그전이라도 해제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