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난방비 폭탄' 떨어졌던 1월 전기·가스·난방비, IMF 이후 가장 많이 올라

서울시내 한 주택가에 설치된 보일러 연통. 연합뉴스
서울시내 한 주택가에 설치된 보일러 연통. 연합뉴스

'난방비 폭탄'이 떨어졌던 지난 1월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가스·난방비 등 연료 물가가 1998년 IMF 외환위기 때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1월 '전기, 가스 및 기타 연료 물가' 지수는 135.75(2020년=100)를 기록, 지난해 동월 대비 31.7% 올랐다.

이는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4월에 38.2%를 기록한 이후 24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것이다.

전기, 가스 및 기타연료 물가는 소비자물가 지수를 지출 목적별로 분류해 산출하는 것으로, 전기, 도시가스, 취사용 액화석유가스(LPG), 등유, 지역난방비, 부탄가스 등 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연료들의 물가 동향을 종합해 보여준다.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른 원가 부담이 공공요금 인상으로 반영되기 시작하면서 물가 지표 역시 치솟게 된 상황이다.

전기요금의 경우 1년 전 대비 29.5% 상승했다. 이는 1981년 1월 36.6%를 기록한 이래 42년 만에 가장 높았다.

도시가스는 1년 전과 비교해 36.2% 올랐다. 다만 도시가스의 경우 먼저 급등한 바 있어 지난 1월과 지난해 10~12월이 상승률이 같았다. 이를 제외하면 1998년 4월 51.1%를 기록한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지역난방비 역시 지난해 10~12월에 이어 올해 1월에도 34%의 상승률을 기록했는데,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5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도시가스 공급이 이뤄지지 않는 지역에서 각 가정마다 보일러 연료로 쓰는 등유는 1년 전 대비 37.7% 상승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