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복현 금감원장 "은행, 우월적 지위 이용하고 있다"…새 사업자 시장 진입 가능성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7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7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진단 및 향후과제 세미나'에 참석해 인사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은행권의 영업방식에 대해 "시장에서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하고 있다"며 "약탈적"이라고 비판했다. 금리 상승기에 벌어들인 수조원의 수익 상당부분을 퇴직금 등 구조조정에 사용하고 있는 것이 부당하다는 지적이다.

이 원장은 17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 진단 및 향후 과제' 세미나가 끝난 뒤 취재진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은행들이 비용 절감 등을 통해 수익성을 높이는 방식을 문제 삼았다.

그는 "은행의 구조조정 모습을 보면 금융 취약층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지점 수를 줄인다든가 고용 창출 이력을 줄여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자기자본이익률(ROE)을 높이는 방식을 추구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은행권이 금리 상승기를 이용해 수조원의 수익을 벌어들인 뒤 성과급이나 퇴직금 등에 상당 부분을 사용하는 것도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 원장은 "소비자 입장에서 보면 금융 상품들이 계속 대동소이하다"며 "그런 가운데 금리 상승으로 부담이 커졌는데도 은행들은 수십조 이익을 벌고 있고 그 이익의 사용 방식과 관련해서도 여러 의문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약탈적이라고도 볼 수 있는 비용 절감과 시장에서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해 강한 문제의식들이 있었고 그게 지금 정점에 와 있는 것"이라며 "유일한 이유는 아니겠지만 그 주된 배경엔 독과점적 시장 환경이 있다. "은행권 노력을 폄하하는 것은 아니지만 문제의 본질과 어긋나 있다는 측면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은행권 과점 체제 개선 방향에 대해 새로운 사업자의 시장 진입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를 두고 시장에서는 은행 인가를 용도나 목적에 따라 세분화해 소상공인 전문은행이나 중소기업 전문은행 등을 배출하는 방안과 기존 케이뱅크나 카카오뱅크 외 새로운 인터넷 전문은행을 허용하는 방안, 핀테크 업체의 금융업 진출 확대 방안 등이 거론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그는 "실효적 경쟁을 높이는 방법을 고민 중이다. 지금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보자는 게 기본적인 스탠스"라며 "새로운 (사업자의) 시장 진입이 필요하다면 그것까지 다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