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청소년, 젊은층이 음식을 먹지 않는 계기는 일상의 다양한 상황에서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섭식 장애가 발생한 경우 신체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정서적·사회적으로 큰 문제를 겪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운선 경북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아이들은 부모가 자신을 조종하려고 할 때,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음식물 섭취로 부모에게 대항하기도 한다"며 "코로나19로 외로움을 느껴서 식욕 부진이 온 경우가 있고, 학기 중 신체검사를 했는데 체중으로 다른 학생들로부터 놀림을 받았다거나, 전교 회장 선거에서 떨어졌다거나 성적이 급격히 떨어져 굶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충격적인 경험을 한 이후로 자신이 어떤 상황을 조절할 수 없는 것에서 극심한 스트레스를 느끼게 되고, 이를 체중을 조절함으로써 해소하려고 하는 욕구에서 굶기나 체중 감량에 대한 강박이 나타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예인들의 영향을 많이 받는 청소년들이 SNS 등을 자주 접하면서 체중 감량에 대한 압박을 받기도 한다고 분석했다.
정 교수는 "유튜브 등에서 몸매나 외모를 이용해 돈을 버는 인플루언서가 선망의 대상이 되면서 이들을 따라 하려는 측면이 있다. 체중과 관련해 병원에 오는 여성 청소년 중에는 초등학생도 있고, 요즘은 남학생들도 병원을 꽤 많이 찾는다"며 "이런 경우 입원을 해서 체중 증량 치료와 정신과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강박이 정말 심하면 몸무게가 늘까 봐 물도 마시지 않고, 치료 중 사용되는 입맛을 돋우는 약을 거부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특히 10대 시절 무리한 굶기나 구토 등을 한 경우 향후 신체적으로 나타나는 부작용이 크다고 경고했다.
서완석 영남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습관적으로 구토를 하면 위액에 섞여 전해질이 함께 유출되는데, 이를 계속 방치하면 심장마비로 이어질 수 있다"며 "또한 골밀도가 낮아져서 나이가 들었을 때 뼈가 잘 부러지게 되고, 그냥 넘어지기만 했는데도 아예 못 일어나서 위험한 사고를 당할 수 있고, 회복이 안 돼 거동 자체를 못하게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청소년 시기 올바른 자아정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가정과 사회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박은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는 "학교에서든 가정에서든 아이들이 있는 그대로 존중받는다는 것을 느끼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외모가 예뻐서, 성적이 좋아서가 아니라 태어나준 것만으로도, 그 존재 자체로 사랑받을 수 있는 사람인 것을 인지시키는 게 중요하다"며 "학교와 가정에서 이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농담으로라도 자녀에게 외모에 대한 칭찬은 물론 지적을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김건희 "내가 죽어야 남편 살길 열리지 않을까"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냐"는 조국에 "이래서 사면 안돼" 우재준 비판
조국 "내가 사과한다고 2030 마음 열겠나"…국힘 "그럼 은퇴해라"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