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조재구 남구청장 "명품 주거지 남구, 더 이상 옛 이름 아닐 것"

[2023 단체장에게 듣는다]정주환경 개선 본격화, 앞산은 전국적 힐링명소로
행정복합타운은 3차순환도로, 도시철도 4호선 예정지 인근에 확보

조재구 대구 남구청장. 남구청 제공
조재구 대구 남구청장. 남구청 제공

앞산과 신천을 모두 품은 대구 남구는 과거 대구의 부촌으로 이름이 높았다. 주거문화가 바뀌며 옛 명성이 흐릿해졌지만, 역세권을 중심으로 재개발·재건축을 통한 정주환경 개선이 진행 중이고, 초고령화 도시에서 젊은 도시로 점차 변모해 나가고 있다. 명품주거지 남구의 옛 위상을 회복하려는 조재구 남구청장의 구상을 들어봤다.

- 남구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활발하다.
▶민선 7기때부터 도시재생 사업보다는 재개발, 재건축을 활성화를 추구한 성과다. 자동차 진입이 안 되는 골목길에 벽화 그린다고 주민들이 좋아하지 않는다. 남구에서 젊은 사람들이 빠져나간 이유다.
남구는 천혜의 자원 앞산과 신천이 있고, 도시철도 1·3호선이 지난다. 영남대·대구가톨릭대병원이 있어서 정주환경은 이미 갖춰져 있다. 아파트 신축 등 주거환경 개선사업 성과가 나면 옛 명성을 회복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2018년 이후 총 4천400 가구가 준공했고 관리처분인가가 나고 분양 중인 현장도 총 7곳, 6천433가구에 달한다.

- 남구청 청사 이전 준비는 어떻게 되고 있나.
▶여러 가지 현안이 산재해 있지만, 가장 큰 현안 중 하나가 노후화된 현 남구 청사를 대신할 신청사 건립이다. 2006년 안전진단 결과 붕괴 위험이 있는 D등급을 받아 보수와 보강을 거쳤지만, 2020년 안전 진단에서는 빠른 시일 내에 보강이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았다.

신청사 부지는 주민 휴식공간과 복합문화공간을 갖춰 지역발전 거점으로 삼고자 한다. 영대병원네거리를 포함해 조만간 완전 개통이 되는 3차 순환도로, 도시철도 4호선 계획 노선에 접한 부지를 중점적으로 보고 있다. 올해 안에 기본 실시설계용역을 시작하려고 한다.
청사 건립이 무엇보다 시급한 사안이기에 올해 연말까지 721억원의 기금을 조성할 예정이다. 대구시도 남구의 열악한 재정상황을 고려해 지원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 캠프조지 일대에 행정복합타운을 만들려는 구상은 폐기한 건가.
▶임대기간 만료로 2019년부터 LH가 관리 중인 캠프조지 일대로 옮겨가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판단을 내렸다. 캠프 조지는 실내수영장을 포함한 국민체육센터를 비롯해 공원화해 주민들의 여가, 체육, 휴식공간으로 삼으려고 한다.

- 대구시는 군부대 통합이전에 속도를 내고 있는데, 미군부대 이전 후 구상은?
▶미군 부대는 남구 전체면적의 6.2%나 차지해 이전이 반드시 필요하다. 캠프워커 헬기장 반환 등을 통해 대구대표도서관·평화공원 신축, 3차순환도로 완전개통 등이 2년 앞으로 다가온 것은 다행이다.
다만 3개 부대를 일괄 이전하는 게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통합이전이 아니더라도 이전이 가능한 부분부터 단계적으로 검토해 나가는 게 바람직하다. 대구시 등 관계기관과 함께 협의해 나갈 계획이고 활용방안도 이전이 구체화되는 시점에서 검토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본다.

- 앞산 관광 활성화 방안은?
▶지난해 앞산이 '2023~2024 한국 관광 100선'에 선정된 만큼 문화관광 도시 조성에 더욱 탄력이 붙었다. 앞산 빨래터공원은 해넘이 전망대, 앞산 하늘다리와 연결하는 도시형 캠핑장 및 반려동물 놀이터를 건립해 전국적인 힐링 명소로 만들고 고산골 공룡공원 확장사업, 앞산관광 모노레일 설치, 생태 쉼터 조성 등으로 레포츠 중심의 체험형 관광지로 만들 것이다. 250억원 규모의 '문화관광 플랫폼 조성' 사업도 준비하고 있다. '문화관광 플랫폼'은 대구 최고의 시설을 갖춘 300석 규모의 공연장, 500명 수용가능한 가변형 컨벤션센터, 1천㎡ 규모의 대형전시장과 90면의 주차공간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이다. 올 상반기 토지매입이 완료될 예정이다.

-대한민국시군구청장협의회장으로서 이번 정부 지방자치분야에서 이끌어내야 할 변화를 꼽자면?
▶10년 후면 지방 소멸의 심각한 위기다. 올해 역점사업을 2가지 기조에서 추진하려고 한다. 첫째, 건강한 대한민국을 위한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추진이고, 둘째 국가-광역-기초-주민의 소통·협치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구축이다.
열악한 재정으로 고통받고 있는 기초 지방정부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전달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려 한다. 기초지방정부가 충분한 권한과 책임을 가지고 성장동력을 스스로 찾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기에 이를 뒷받침하고 지원해 줄 '지방시대위원회'와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시·군·구 주도의 지역 맞춤형 지방분권 정책과 실질적인 지역 균형발전 정책을 추진해, 국가정책에 적극 반영하고 지역 간 갈등을 완화하는 사업들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