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강제징용 해법 반대 59% "日 사과·배상 없다"… 찬성은 35%

[한국갤럽] 64% "日 태도 변화 없다면 한일관계 개선 서두를 필요 없다"

정의기억연대, 민족문제연구소, 민주노총 등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 관계자들이 6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윤석열 정부가 발표한 강제동원 피해배상 해법을 규탄하는 촛불집회를 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오전
정의기억연대, 민족문제연구소, 민주노총 등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 관계자들이 6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윤석열 정부가 발표한 강제동원 피해배상 해법을 규탄하는 촛불집회를 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오전 '제3자 변제' 방식을 골자로 한 강제징용 피해배상 방안을 공식 발표했다. 방안에 따르면 2018년 대법원의 배상 확정판결을 받은 국내 강제징용 피해자들은 피고인 일본 기업 대신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서 배상금을 받게 된다. 연합뉴스

국민 10명 중 6명은 '제3자 변제'를 골자로 하는 정부의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해법에 반대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0일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8∼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9%는 '일본의 사과와 배상이 없어 반대한다'고 답했다.

'한일 관계와 국익을 위해 찬성한다'는 응답자는 35%였다. 6%는 의견을 유보했다.

한국갤럽은 "제3자 변제 방안에 대한 찬성 응답은 윤석열 대통령 직무 긍정 평가자와 국민의힘 지지층에서 강한 편"이라며 "보수층과 60대 이상에서는 제3자 변제 방안에 대한 찬성이 50% 안팎이었고 반대도 약 40%로 적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또 "여권 지지층을 제외한 대부분의 응답자에게서는 정부안에 대한 반대가 우세했다"고 설명했다.

만약 일본 가해 기업이 미래세대를 대상으로 기부한다면 이를 '배상한 것으로 보겠다'는 의견은 27%, '그렇지 않다'는 의견은 64%였다.

향후 한일 관계 방향에 대해서는 '우리가 일부 양보하더라도 가능한 한 빨리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은 31%, '일본의 태도 변화가 없다면 서둘러 개선할 필요 없다'는 의견은 64%로 조사됐다.

아울러 일본 정부의 과거사 인식에 대한 질문엔 '반성하고 있다'가 8%, '그렇지 않다'가 85%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의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무선(95%)·유선(5%) 전화 면접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9.5%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