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단체 여행이 재개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이용자도 급증 현상이 맞물리면서 지난달 오락·문화 물가가 14년여 만에 가장 크게 상승했다.
1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지출목적별 소비자물가지수 중 오락·문화 물가지수는 105.86으로 집계됐다. 1년 새 4.3% 올랐다. 이렇게 많이 오른 건 지난 2008년 12월 4.6% 이후 14년 2개월 만이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19년 4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매월 마이너스(-)를 보이던 오락·문화 물가 상승률은 2020년 12월 플러스(+)로 전환했다.
다만, 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2월까지는 상승률이 0~1%에 그쳤다.
2월 오락·문화 물가 상승을 이끈 건 단체여행이었다. 코로나19 이후 제한이 풀리면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2월 단체 여행비는 9.3% 상승했다. 특히 해외 단체 여행비가 13.3% 오르는 등 지난해 12월부터 석 달째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국내 단체여행비도 4.1% 올랐다.
넷플릭스·왓챠·웨이브 등 OTT와 게임 아이템 등 온라인 콘텐츠 이용료도 3.1% 올라 문화·오락 물가 상승에 한몫했다.
야외 활동이 늘어나자 등산·캠핑 등 레저용품(6.1%), 운동용품(9.5%)도 가격이 올랐다. 놀이시설 이용료(9.3%)부터 영화관람료(7.4%) 등 문화 서비스 가격도 동반 상승했다.
댓글 많은 뉴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광주 軍공항 이전 사실상 국정과제화"…대구 숙원 사업 TK신공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