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국민의힘 전 대표가 현재 보수진영의 경제관과 안보관이 20~30년은 뒤떨어진 느낌이라고 비판했다.
이 전 대표는 저서 '이준석의 거부할 수 없는 미래' 출간을 맞아 18일 경기도 수원에서 독자와 만난 자리에서 "기성 보수는 자유라는 단어를 쓰기는 좋아하는데 그걸 지키기 어려워한다. 기업의 창의와 자유를 말하면서 해고의 자유에 대해선 적극적으로 다루지만, 창의를 갖고 만든 새 사업에는 인색한 경우가 많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최근 철회됐던 '주 69시간 논쟁'에 대한 의견도 내놨다.
이 전 대표는 "최근 보수진영으로 많이 편입됐던 20·30세대 다수가 이탈한 이유는 정부 집권 후의 정책 방향 때문"이라며 "2030이 원하는 건 양질의 일자리와 워라밸인데, 이 정부 들어 이와 관련한 정책은 기억에 남지 않는다"며 "근로 시간을 더 늘리자고 했다면 이건 일반 대중의 생각보다는 자본가 등의 생각이 많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계 소득 선에 있는 분들이 노동을 선택할 수 있게 하자는 취지는 나쁘게 볼 소지가 없다"며 "반대로 이게 현장에서 어떻게 악용될 소지가 있는지, 선택이 아닌 강제가 될 가능성에 대해 잘 따져 보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독자와의 만남을 시작으로 전국을 돌며 독자들을 만날 예정인 이 전 대표는 일각의 장외정치 평가에 대해 "갑자기 잡은 일정이 아니라 책을 낼 때부터 예고했던 일정"이라며 "지난해 가을쯤 전국을 돌며 당원과 지지자를 만나다 가처분 등으로 중단됐었는데 그걸 재개한 것이라고 보시면 된다"고 답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