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근로시간 유연화와 관련, "임금 및 휴가 등 보상체계에 대한 불안이 없도록 확실한 담보책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20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를 통해 이같이 지시했다고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이 이날 낮 서면 브리핑을 통해 언론에 밝혔다.
이는 고용노동부가 추진하는 기존 '주 52시간'이 골자인 근로시간 개편안과 관련, '주 최대 69시간'만 부각되면서 '제대로 된 보상이 없는 장시간 근로만 강요하는 것 아니냐'는 MZ세대 등의 반발 여론이 지속되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6∼17일 첫 일본 방문 결과를 언급, "한일관계 개선 및 협력에 관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각 부처는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하라"고도 했다. 방일 성과에 대해 국민들이 제대로 느낄 수 있도록 관련 조치를 주문한 맥락이다.
대통령실은 이번 주 초 일본 정부에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정상화를 위한 외교 공한을 발송할 예정인데, 이는 한일정상회담에서 지소미아 정상화가 공식적으로 언급된 후 이어지는 후속 조치이다. 이같은 첫 실질적 성과 도출에 이어 정부는 다른 경제와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한일 관련 정상화 조치를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 대통령이 이날 회의에서 언급한 근로시간 유연화, 한일정상회담을 중심으로 하는 최근 방일, 그리고 좀 더 앞서 정부가 발표한 제3자 변제 골자의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해법 등은 모두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야권이 한창 공세를 펼치고 있는 소재들이기도 하다.


































댓글 많은 뉴스
대장동 민간업자 김만배·유동규 1심 징역 8년…법정구속
李 대통령 지지율 57%…긍정·부정 평가 이유 1위 모두 '외교'
李 대통령 "韓日, 이웃임을 부정도, 협력의 손 놓을수도 없어"
시진핑에 '최고급 바둑판' 선물한 李…11년전 '바둑알' 선물에 의미 더했다
한중 정상회담서 원·위안 통화스와프 등 7개 MOU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