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실언·갑질 논란' 김기현號, 지지율 하락에 당·정 민생정책으로 돌파구 모색

친윤계 지도부 출범 후 당이 정부에 제 목소리 못내는 상황 속 잇단 악재 겹쳐
장제원 반말·호통 갑질 논란, 김재원 실언에 2030·중도층 지지율 하락
당·정, '천원학식' 예산 확대 호응에 학폭대책·양곡관리법 후속 조치 당정협의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가 2일 전북 전주시 서부시장에서 전주을 국회의원 재선거 출마한 김경민 후보와 함께 인사하고 있다. 왼쪽은 정운천 의원, 오른쪽은 이용호 의원.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가 2일 전북 전주시 서부시장에서 전주을 국회의원 재선거 출마한 김경민 후보와 함께 인사하고 있다. 왼쪽은 정운천 의원, 오른쪽은 이용호 의원. 연합뉴스

출범 한 달도 되지 않은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체제가 지지율 하락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친윤계 일색의 지도부가 구성되면서 당이 여권 전반을 주도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사라졌고 한·일 정상회담에 대한 비판 여론과 '69시간 근로제' 논란 등이 겹친 탓이다.

여기에 김재원 최고위원의 잇따른 실언과 '윤핵관' 장제원 의원의 '반말·호통' 갑질 논란 등이 얹어지면서 2030세대와 중도층 민심의 이반이 가속화되는 모양새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이 중도층 설득보다 핵심지지층 구애에 열을 올리면서 여권이 민심과 더욱 멀어졌다는 비판도 나온다.

윤 대통령의 멘토를 자임해 온 신평 변호사 2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을 통해 "(한국선거는) 보수(3)·중간층(4)·진보(3) 판에서 중도층 마음을 누가 더 얻느냐에 따라 과반수 유권자가 거주하는 수도권 표심에서 승패를 결정한다"며 "그런 면에서 윤석열정부는 지금 위험한 선택을 하고 있다. 10분의 3을 이루는 지지층을 향한 구애에 치중한다"고 지적했다.

한국갤럽이 지난달 28∼30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p)를 보면 3·8 전당대회 일주일 전인 3월 1주차(2월 28일∼3월 2일)에 39%를 찍었던 당 지지율은 5주 차인 지난주에 33%로 6%포인트(p)나 급락했다.

같은 기간 윤 대통령의 지지율도 36%에서 30%로 떨어졌다.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3월 1주차 29%에서 5주차 33%로 4%p 올랐다.

지역별·연령별로 보면 국민의힘 지지율은 총선 승리 바로미터라 할 수도권과 20대·30대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한 의원은 이날 매일신문과 통화에서 "아직 원내대표를 선출하지 않은 상황에서 지금 지지율은 좀 더 지켜봐야 한다. 친윤계 지도부가 지지율 하락에 영향을 줬기보다는 개개인의 실수가 컸다"면서 "이제 막 민생 정책행보를 시작했으니 아직은 지켜봐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최창렬 용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김기현 대표가 한일정상회담에서 잘못한 부분은 지적하고, 의원들의 실수도 바로잡는 모습을 보여줘야 하는 데 그런 적이 없다"며 "당이 주도적으로 이끄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에 국민의힘 지도부는 정부와 발을 맞춘 민생정책으로 지지율 반전을 꾀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국민의힘은 지난달 28일 경희대학교를 찾아 '천원학식' 확대를 강조하고, 다음 날 바로 정부도 예산을 2배로 확대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달에는 학교폭력·소아응급 의료 및 비대면 진료 대책 당정협의회(5일), 양곡관리법 후속 조치 당정협의회(6일) 등이 이어진다. 김 대표도 폐과 선언이 나오는 소아청소년과 의료 현장과 저렴한 데이터요금제 마련을 위한 통신 업계 현장을 직접 방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