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2027년까지 지역경제의 성장을 주도할 대표 중소기업 300개를 육성하기로 했다.
정부는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의 '지역중소기업 혁신성장 촉진 방안'을 발표했다.
추 부총리는 "지역경제 활력을 제고하기 위해 기업의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과 지역간 협력을 통해 지역성장 주도기업을 육성하겠다"며 "금융지원 강화와 지역여건을 반영한 맞춤형 인력, 수출지원 등을 통해 지역중소기업의 성장 여건을 개선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2027년까지 비수도권 지역의 주축산업 분야에서 280개 선도기업을 선정해 육성한다.
이와 함께 단일 지역에서 추진하기 어려운 수소, 반도체 등의 미래 신산업 분야에서 지역 간 협력을 통해 '초광역권 선도기업' 20개를 선정·지원하기로 했다.
이에 정부가 육성할 지역성장 주도 대표 중소기업은 300개에 달한다.
정부는 또 지역의 다양한 지원기관이 이어달리기 방식으로 지역기업을 지원하는 '지역중소기업 성장프로젝트 300'을 추진해 2027년까지 17개 지역에서 300개의 성공 사례를 창출할 계획이다.
지역중소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2027년까지 17개 지역에서 100개의 협업 모델도 창출할 예정이다.
정부는 인천 송도의 'K-바이오랩 허브' 사례처럼 창업·벤처기업과 대학·연구기관, 중소기업 지원기관들이 모인 '지역특화 창업·벤처 밸리' 조성방안도 중장기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지역중소기업 대상의 인력 양성을 위해 '중소기업 인재대학'을 지정하거나 단기 정책자금인 '네트워크론'을 도입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아울러 선진적인 규제 환경과 글로벌 진출 특화 실증 체계를 갖춘 '글로벌혁신특구'도 조성하기로 했다.
대구, 경북 등 현재 5개 지역에서 운영 중인 위기지원센터를 2027년까지 전국으로 확대한다. 전국 10개 지역에 설치된 구조혁신지원센터도 2027년까지 전국으로 확대한다.
정부는 지역중소기업 혁신성장 지원이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하고 체감될 수 있도록 지방중소벤처기업청과 지자체, 지역중소기업 지원기관들이 하나로 뭉친 '원팀(One-Team) 지역혁신네트워크'도 구축할 계획이다.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살기 좋은 지방시대' 성공의 핵심은 지역 스스로 성장동력을 찾고 지역에서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는 것"이라며 "성공의 열쇠는 지역경제의 기초가 되는 지역중소기업에 있다.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