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인가구 절반이 빈곤층…노인 1인가구 빈곤율은 72% 달해

국내 1인가구 절반 가까이가 빈곤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인의 1인가구 빈곤율은 72%로 매우 높았고 청년 1인가구는 5명 중 1명이 빈곤층이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9일 발표한 '2022년 빈곤 통계 연보'에 따르면 2020년 기준 1인가구의 가처분소득 기준 상대 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 비율)은 47.2%였다. 전체 인구의 빈곤율 15.3%보다 크게 높은 수치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의 1인 가구 빈곤율은 72.1%로 집계됐다. 2016년(78.4%)보다 조금 낮아졌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중년층(50~64세)과 장년층(35~49세)의 1인 가구 빈곤율은 각각 38.7%, 19.5%였다. 19~34세인 청년층은 20.2%로 1인 가구 5명 중 1명이 빈곤한 처지였다.

1인가구 빈곤율이 유독 높은 가운데 1인가구 수도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12월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1인 가구는 716만6천가구로 전년보다 7.9%(52만2천가구) 늘었다.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중은 2021년 33.4%로, 2050년에는 39.6%에 달할 전망이다.

전 연령대 빈곤율은 장애인만 따져보면 39.5%였고, 아동 빈곤율은 9.8%, 청년 빈곤율은 8.2%였다. 빈곤율은 여성 가구주 가구에서 32.6%로, 남성 가구주 가구(12.1%)의 3배에 가까웠다. 한부모가구의 빈곤율은 2016년 42.3%에서 2020년 22.4%로 크게 줄었고 취업자의 빈곤율은 10.3%였다.

한편 순자산(총자산 중 부채 제외) 수준을 보면 전체 국민 중 자산 상위 10%가 전체 자산의 5분의 2 이상을 갖고 있었다. 전체 자산의 71.3%는 상위 30%에 몰려 있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