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과수 농가 냉해피해 조심해야… 최근 영하권 떨어지는 현상 잦아져

사과, 배, 복숭아, 자두 등 과수 농가 피해 우려
영양군, 지역 농가대상 사전·사후 대처법 제시

봄철을 맞아 지역 내 과수농가에 꽃눈 개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4월 이상저온으로 인한 냉해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사진은 개화한 꽃눈 모습. 영양군 제공
봄철을 맞아 지역 내 과수농가에 꽃눈 개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4월 이상저온으로 인한 냉해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사진은 개화한 꽃눈 모습. 영양군 제공

최근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지는 날이 잦아지면서 경북지역 내 과수농가의 냉해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10일 영양군농업기술센터 등에 따르면 올해는 예년보다 전국적으로 3월 기온이 높아 과수 꽃눈 개화 진행이 평년보다 최대 7~10일가량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 4월 들어 예상치 못한 낮은 기온으로 인해 현재 과수 꽃눈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피해 우려 대상 농가는 사과와 배, 복숭아, 자두 등을 재배하는 곳이다.

냉해피해 예방법에 대해 영양군은 ▷살수법(미세살수장치를 이용한 물이 얼 때 발생하는 열로 나무 조직의 온도가 내려가는 것을 막아주는 방법) ▷송풍법(송풍기를 이용한 낮은 온도가 정체되는 것을 막아주는 방법) ▷연소법(고체 연료나 겨를 태워 과원 내 열을 높이는 방법) ▷아미노산류 영양제 살포로 전해질을 높이는 방법 등 4가지를 제시했다.

특히 영양군은 지역 과수 농가들이 기상예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재해 예방시설을 수시로 점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부득이하게 저온·서리 피해를 받았을 때는 "개화 초기 빠른 인공수분으로 수정률을 높여 주고, 적화·적과 작업을 결실률 확인 후 늦게 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피해가 심한 농가의 대처 법에 대해서는 "수세(나무의 자람새)가 강해져 이듬해 생육과 꽃눈분화에도 부정적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질소질 비료·거름 등의 시비량을 줄이고, 여름철에 나오는 새로운 열매 줄기에 대한 유인작업과 가지치기를 통해 수세가 강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윤칠 영양군농업기술센터 소장은 "매년 이상기상으로 인한 저온·서리로 과수농가 피해가 심해지고 있다"며 "올해는 개화가 빨라 피해가 더 클 것으로 우려되는 만큼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예방 방법 홍보와 현장 지도에 더 힘을 실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