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에서 마약 음료가 유포된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은 중국에 머물며 범행을 꾸민 용의자 2명의 신원을 확인하고 소재 파악에 나섰다.
10일 경찰 등에 따르면 서울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는 길모 씨에게 마약음료 제조를 지시한 한국 국적 이모(20대) 씨와 현지에서 범행에 가담한 중국 국적 박모(30대) 씨를 범행 '윗선'으로 특정했다.
이씨와 박씨는 이번 사건의 총책으로 추정되는 인물이다.
국내에서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에 가담한 전력이 있는 한국 국적의 이씨는 지난해 10월 출국해 중국에 체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이들의 신병을 확보하기 위해 체포영장을 신청하는 한편 출입국당국에 입국 시 통보를, 중국 공안에 공조 수사를 요청했다.
경찰은 시중에 유통됐다가 수거된 마약음료 감식과 중국에서 건너온 빈병의 배송경로를 추적한 결과 이들이 길씨 등 국내 전달책들에게 범행을 지시하고 마약음료 제조용 빈병과 상자·판촉물을 보낸 것으로 파악했다.
길씨는 필로폰 성분이 든 마약 음료를 제조해 고속버스와 퀵서비스를 이용해 서울의 아르바이트생 4명에게 전달한 혐의(마약류관리법 위반)를 받고 있다.
또 다른 국내 공범 김 모씨는 피해 학부모에게 협박 전화를 거는 과정에서 중계기를 이용해 휴대전화 번호를 변작한 혐의(전기통신사업법 위반)를 받는다.
지난 7일 체포된 길씨는 경찰에서 "친구 이씨 지시로 필로폰과 우유를 섞어 음료를 제조한 뒤 고속버스와 퀵서비스를 이용해 서울에 보냈다"고 진술했다.

경찰은 이들 일당이 보이스피싱 조직과 연루된 정황도 포착했다.
김씨는 보이스피싱 조직에 전화번호를 변작해주는 전문 업자로 조사됐다. 경찰은 인천에서 김씨를 검거하며 노트북 6대, USB 모뎀 96개, 휴대전화 유심 368개를 압수했다.
모뎀 사용기록 등을 분석한 결과 김씨는 보이스피싱 14건에 연루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로 인한 총 피해금액은 1억원에 달했다.
김씨는 전화번호 1개를 변작해줄 때마다 그 대가로 1만원씩 받았다고 진술했다. 다만 "길씨와는 모르는 사이이며, 보이스피싱 범죄에 쓰이는 것으로 알았다"며 마약음료와 연관성은 부인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총책 이씨 뿐만 아니라 '집중력 강화 음료' 시음행사를 가장해 마약음료를 나눠준 아르바이트생 4명 가운데 1명도 과거 현금 수거책으로 보이스피싱 범죄에 가담한 전력이 확인됐다.
길씨와 김씨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은 오는 10일 오후 3시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