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한상의 "탄소 중립위한 정책적 지원 시급"

해외 탄소 저장소 확보 나선 기업에 정책적 지원 필요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회관. 연합뉴스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회관. 연합뉴스

탄소 중립을 위한 기술 개발과 산업 육성, 해외 탄소 저장소를 확보하려면 정책적 지원이 시급한 과제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17일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내 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CCUS) 현황과 과제' 보고서를 통해 "세계 주요국은 탄소 중립을 이뤄내기 위한 핵심 기술로 CCUS에 주목하고 있다"고 이같이 제안했다.

CCUS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포집해 활용하거나 저장하는 기술로, 탄소를 모은 뒤 저장하는 CCS와 포집한 탄소를 유용하게 활용하는 CCU를 합친 개념이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분석에 따르면 2100년까지 최대 1조 2천 180억t의 탄소를 CCUS로 처리해야 탄소 중립을 실현할 수 있다.

이 가운데 한국은 2030년까지 누적 1천 860만t의 탄소를 감축해야 한다.

이 같은 상황에 놓이자 국내 기업들은 해외 탄소 저장소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 E&S, 삼성엔지니어링, GS칼텍스, 포스코인터내셔널 등이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보고서에서는 이처럼 해외 탄소 저장소 확보에 뛰어든 기업에도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국처럼 탄소 저장소가 부족하면 런던 협약에 따라 포집한 탄소를 옮기기 위해선 국가 간 협약이 선행해야 할 과제기 때문이다.

권이균 한국CCUS추진단 단장은 "우리나라가 작년 4월 런던의정서 개정안 수락서를 국제해사기구(IMO)에 기탁 완료한 만큼 탄소 저장소를 확보한 상대 국가도 수락서를 IMO에 조속히 기탁하도록 협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