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대구시장이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에 연일 비판을 쏟아내자 당 안팎에서 한 목소리로 자제를 당부하고 나섰다. 하지만 전당대회 때 정점을 찍은 지지율이 최근 곤두박질치는 핵심 원인은 리더십 부족에 따른 다양성 실종임에도 홍 시장의 쓴소리만 탓하고 있다는 반론이 나온다.
17일 국민의힘은 주류와 비주류, 원내와 원외를 불문하고 홍 시장을 향해 이른바 훈수정치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유상범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홍 시장이 주장하는 '전광훈 연루설'에 대해 "(홍 시장은) 당의 원로이시고 당대표를 두 번이나 역임하신 분이니 국민들에게 정확히 실상을 말씀해 주실 필요가 있다"며 "자제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김병민 최고위원은 SBS 라디오에서 "국민의힘에서는 홍준표 시장에 대해 항상 함께하고 있는 우리 동지이지 손절해야 될 대상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라면서도 "하고 싶은 말씀이 많을지 모르겠으나 당에 대한 애정이 우선일 거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도 "(대선) 포석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금도는 있어야 되는 것 아닌가"(조해진 의원), "홍 시장도 좀 자중을 하는 게 좋겠다. 또 다른 막말이 이어져서는 안 된다"(황교안 전 대표), "대선 불복은 야당 쪽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다"(신평 변호사) 등 홍 시장에게 비판 자제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잇따랐다.
사실상 당 전체가 나서 홍 시장의 입을 막으려는 배경에는 최근 당정 지지율 폭락이 당 지도부에 대한 홍 시장의 과도한 비판이 영향을 끼쳤다는 자체 분석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핵심 지지기반인 대구경북(TK) 지지율마저 하락세를 면치 못하는 건 홍 시장이 주장하는 전광훈 연루설과 이를 부인하는 김기현 대표와의 설전 탓이라는 것이다.
여당의 한 의원은 "비판에는 진정성이 있어야 한다. 원로로서 당에 쓴소리를 해줄 수 있는 다른 방법들이 많은데 굳이 SNS를 통해 여론을 자극·악화시키는 것 같아 아쉽다"고 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지지율 하락에 대한 진단이 잘못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3·8 전당대회 직후 친윤 일색으로 지도부가 구성되면서 당내 다양성이 실종됐고, 지도부가 일부 최고위원의 실언에 기민하게 대처하지 못한 것이 지지율 급전직하의 근본 원인이라는 것이다. 전대 직후 컨벤션 효과를 누리기는커녕 지지율이 추락한 데는 김 대표의 리더십에 근본 원인이 있다는 얘기다.
지도부의 실책으로 인한 지지율 하락을 홍 시장 탓으로 돌리는 것은 전형적인 '책임 전가'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여당의 또 다른 의원은 "지난 전당대회 당시 국민의힘은 김기현, 안철수, 천하람, 황교안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보유하며 보수는 물론 중도층까지 공략한 결과 당정 지지율이 최고점을 찍었다"며 "지지율 반등 해법 역시 당내 다양성을 회복하는 데 방점이 찍혀야지, 홍 시장의 입만 막으면 지지율이 회복될 것이라 생각하면 큰 오산"이라고 했다.
실제 한국갤럽에 따르면 국민의힘 지지율은 1월 2주차 35%에서 전당대회가 열린 3월 1주차 39%로 최고점을 찍었다. 당시 민주당(29%)과 격차는 10%포인트까지 벌어졌다.
그러나 친윤 지도부 구성이 완료된 직후 지지율이 빠지며 민주당에 역전을 허용했고, 4월 2주차에는 31%까지 떨어지며 30%선 붕괴를 목전에 두고 있다. (여론조사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