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자원공사에서 횡령 사건이 발생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수자원공사에서는 직원의 횡령 사건이 반복해서 발생하고 있다.
24일 수자원공사에 따르면 최근 공사와 조지아 정부가 합작해 현지에 설립한 법인 'JSC넨스크라하이드로'에 파견된 30대 직원 A씨가 거액의 회삿돈을 횡령했다.
횡령액은 조지아 현지화로 160만라리(약 8억5천만원)로 추정된다.
수자원공사는 지난 2015년 조지아 북서부 산악지대 스와네티의 넨스크라강에 시설용량 280㎿(메가와트) 규모 대형 발전용 댐을 건설하는 사업을 수주했다. 댐이 완공되면 60만명이 사용할 전력이 확보되고, 수자원공사는 36년간 댐을 운영하며 수익을 내게 된다. 이 과정에서 댐 건설 관련 행정절차와 보상을 처리하기 위해 JSC넨스크라하이드로가 설립됐다.
A씨가 회사 계좌에서 돈을 빼돌린 시점은 지난 1월 9~16일이다. 그는 소액으로 이체할 경우 은행에서 회사에 알림이 가지 않는다는 점을 악용해 일주일간 소액을 반복 이체한 것으로 전해졌다.
작년 초 JSC넨스크라하이드로에 파견된 A씨는 기존 회계직원이 지난해 말 갑작스럽게 그만두면서 임시로 회계업무를 맡게 됐다고 한다.
문제는 A씨가 혼자 자금 관련 업무를 도맡은 점이다. A씨는 회사 계좌에서 돈을 인출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를 진행하고 이를 승인하는 역할뿐 아니라 경영진에 매일 자금 현황을 보고하는 업무도 맡았다고 한다. 경영진은 A씨 보고만 보고 계좌를 들여다보지는 않아 횡령을 파악하지 못했다.
이후 A씨가 무단결근하면서 횡령 사실이 적발됐다.
JSC넨스크라하이드로 측은 지난 1월 17일 A씨가 별다른 말 없이 출근하지 않아 행방을 찾는 과정에서 그가 횡령을 저지른 것을 발견했다.
A씨는 조지아 수도 트빌리시의 트빌리시국제공항에서 출국 직전 회사의 신고로 출동한 현지 수사당국에 체포됐고, 현재 수사가 진행 중이다.
A씨는 횡령액을 변제하겠다는 뜻을 밝혔고 JSC넨스크라하이드로는 그의 한국 내 자산을 가압류하는 등의 조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JSC넨스크라하이드로 측은 이번 사건 직후 자체 전자결제시스템과 법인자금이 맡겨진 은행 시스템을 연계하고 자금수지 보고 시 경영진이 계좌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횡령 예방조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수자원공사에서는 앞서도 횡령 사건이 터진 바 있다.
부산 에코델타시티 조성사업과 관련해 해당 사업단 회계·세무·금전출납 담당자가 2014년부터 2020년까지 토지 소유권 이전등기를 위한 취득세를 회사에 중복해서 청구하는 방식으로 85억원을 횡령했다가 자체 감사에서 적발됐다. 이 직원은 직원 합숙소 보증금 2억원도 빼돌린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 에코델타시티 조성사업 사업단에서는 직원이 법원 화해결정문까지 위조해가면서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총 7억2천여만원을 횡령해 적발된 일도 발생했다.
수자원공사는 85억원 횡령 사건 이후 '재무혁신 태스크포스(TF)'까지 구성해 횡령 재발 방지책을 시행했지만 이번에 외국 정부와 함께 진행하는 사업에서까지 횡령 사건이 발생함에 따라 내부통제 부실 논란이 다시 일 것으로 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