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1월 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대학원 설립 이후 12년, 72번째(라이베리아)와 73번째(파나마) 국가 유학생이 최근 박정희새마을대학원에 입학했다. 영남대는 40년 넘게 새마을개발 분야의 교육·연구 성과와 노하우를 축적해 온 터다. 영남대 측은 새마을학의 수요가 충분하다는 방증이라 판단하고 있다.
이번에 입학한 이들은 라이베리아 출신 카마라 마케메(Kamara Makemes, 새마을국제개발전공) 씨와 파나마에서 온 에레라 퀸테로 마리아 델 로사리오(Herrera Quintero Maria Del Rosario, 산림 및 환경정책전공) 씨다.
이들이 영남대를 선택한 것은 새마을운동이 UN 등 국제사회로부터 개발도상국의 효과적인 지역사회개발 모델로 인정받고 있기 때문. 이들은 "세계 최빈국에서 선진국으로 올라선 유일한 국가인 한국의 발전 경험과 그 토대인 새마을운동을 배우기 위해 영남대로 유학왔다"며 "새마을운동과 새마을개발 원리를 접목한 발전 정책이 고국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실제로 유엔세계식량계획(UN WFP)이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절대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의 새마을개발 원리를 적용한 '새마을 제로 헝거 커뮤니티(Zero Hunger Communities) 프로젝트'를 탄자니아, 르완다, 네팔, 방글라데시 등 개도국에서 추진해 큰 성과를 거둔 바 있다.
최외출 총장은 "한국의 새마을운동이 개도국의 빈곤 극복 모델은 물론, 국가 발전 정책의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영남대가 축적한 새마을국제개발 분야에서의 교육·연구 성과를 전 세계와 공유할 것"이라고 했다.
개도국 공무원과 정책 입안자, 공공 부문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새마을국제개발전문가와 지역개발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2011년 11월 설립된 박정희새마을대학원에서는 지금까지 66개국 725명이 석사학위를 받고, 새마을국제개발 및 지역개발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