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가 소비 침체, 매장 리뉴얼에 따른 매출 공백 등의 여파로 올해 1분기 다소 저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이마트는 올해 1분기 매출액이 처음으로 쿠팡에게 역전당했다.
이마트는 11일 연결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37억원으로 지난해 동기(344억원)보다 60.4% 감소했다고 공시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대비 8천58억원에서 27억원으로 99.7% 축소됐다.
이와 함께 잠정 공시한 이마트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7조1천35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 증가했다. 이는 전날 발표된 쿠팡의 매출 7조6천915억원보다 5천561억원 정도 더 적은 수치다. 쿠팡이 실적 발표를 시작한 이후 이마트가 처음으로 쿠팡에 매출액에서 밀린 것.
지난해 4분기에서 이마트는 7조4천742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쿠팡(7조2천404억원)보다 많았던 것과 대조된다.
별도기준 총매출액은 4조1천99억원으로 전년 대비 2.6% 감소했다.
사업부별로는 할인점 매출이 3조169억원으로 2.5% 줄었고, 영업이익은 477억원으로 37% 감소했다. 창고형 대형마트인 트레이더스 역시 매출(8천184억원)과 영업이익(84억원)이 각각 2.7%, 44.4% 축소됐다. 자체 브랜드(PB)인 '노브랜드'를 내세운 전문점의 경우 매출(2천731억원)은 2.8%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4억원에서 83억원(1천975%↑)으로 급증했다.
다소 저조한 실적은 불황에 따른 소비 침체가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1분기 공휴일 수가 지난해보다 사흘 줄었고 연수점과 킨텍스점 등 일부 점포를 미래형 매장으로 재단장하기 위한 리뉴얼 공사로 매출 공백이 발생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이마트측은 설명했다.
다만 이마트는 1분기 실적에 부담을 준 오프라인 점포 리뉴얼 작업이 앞으로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1분기 SSG닷컴과 G마켓의 합산 영업 적자 규모가 약 200억원정도 줄어 수익성 개선이 이뤄지면서 G마켓 인수 효과도 본격화할 것으로 기대중이다.
이마트 관계자는 "수익성 중심으로 상품력을 강화하고 오프라인 매장을 미래형으로 지속해서 리뉴얼하는 등 체질 개선을 이어가고 있어 하반기부터 의미 있는 실적 개선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