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채 전 에코프로그룹 회장의 법정 구속으로 경북 포항시가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2차전지 특화단지 유치전에 변수가 발생했다. 치열한 유치 경쟁 중 '오너리스크'가 터지면서 다음 달 특화단지 선정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서울고법 형사5부는 지난 11일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등 혐의로 기소된 이 전 회장에게 징역 2년에 벌금 22억원과 추징금 11억여만원을 선고했다. 함께 기소된 에코프로·양극재 생산 계열사 에코프로비엠 전현직 임직원 5명은 징역형의 집행유예 또는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이 전 회장은 지난 2020년 1월~2021년 9월 자사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11억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1심 재판부는 집행유예를 선고했지만 항소심은 도주 우려가 높다고 판단해 법정 구속했다.
'오너 구속' 악재에 특화단지 유치에 사활을 건 포항시는 불똥이 튄 분위기다. 당장 다음 달 특화단지 선정을 앞둔 시점에 이 전 회장이 구속되면서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는 것이다.
에코프로그룹이 포항시의 2차전지 산업 인프라에 주요 축을 담당하는 만큼 투자가 위축되면 타격이 클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에코프로그룹은 지난 2017년부터 포항에 1조7천억원 이상을 투자해 2차전지 원료, 전구체, 양극재, 리사이클링까지 수직 계열화로 2차전지 밸류체인을 완성했다. 또 에코배터리 포항캠퍼스 확장을 위해 블루밸리 국가산단에 2027년까지 2조원 규모의 '에코프로 블루밸리 캠퍼스'(가칭) 건립도 추진 중이다.
포항시는 에코프로 등 2차전지 기업의 투자에 힘입어 지난 2월 산업통상자원부에 2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신청서와 육성계획서를 제출했다. 당시 포항시는 에코프로와 포스코케미칼 등 선도 기업을 중심으로 2030년 양극재 100만톤(t) 생산을 목표로 하는 2차전지 소재산업 혁신 허브 구축 방안을 계획서에 담았다.
에코프로그룹은 이 전 회장의 법정 선고가 난 뒤 입장문을 통해 "이번 사태와 관련 주주·투자자·임직원 여러분에게 심려를 끼쳐 송구하다"며 "에코프로 가족사는 지난 2022년 3월 이 전 대표이사가 에코프로 대표직에서 사임한 뒤 가족사들은 전문경영인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사회 중심의 경영을 강화하고 있고, 올해 5월부터는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지정돼 더욱 엄격한 기준으로 회사 경영활동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판결에 따른 가족사의 주요 사업 및 해외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없을 것"이라며 "주주 및 투자자·임직원 여러분의 변함없는 지지와 성원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