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전 올해 1천600억원 에너지공대 출연계획 '일부 축소' 가닥

정부 "줄이는 방향으로 협의", 310억 정부기금 출연은 예정대로 진행

한국전력공사 본사 사옥의 모습. 연합뉴스
한국전력공사 본사 사옥의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심각한 재무 위기에 빠진 한국전력의 올해 한국에너지공과대(KENTECH·켄텍) 출연 규모를 당초 계획보다 줄이는 것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정부는 한전의 한국에너지공대 올해 출연 규모를 당초 계획했던 1천600억원보다 줄이는 방향으로 논의를 진행 중이다.

다만 전기요금에 함께 매기는 전력산업기반기금(전력기금)을 활용한 정부 출연은 기존 310억원 규모가 유지될 전망이다.

17일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한전의 재무 위기를 고려해 에너지공대에 대한 한전의 올해 출연 규모를 줄이는 방향으로 관계 부처 협의를 진행 중이다.

정부 관계자는 "한전의 출연을 줄이는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인식이 있다"고 밝혔다.

앞서 이창양 산업통상부 장관은 지난 11일 국회에 출석해 "한전 상황이 워낙 어렵기 때문에 에너지공대에 출연하는 것도 전면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며 출연 축소 가능성을 시사했었다.

'한전공대'로 불리는 에너지공대는 문재인 정부가 '세계 유일의 에너지 특화 연구중심 대학' 육성을 내세워 강력히 추진했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전인 지난해 3월 전남 나주에서 개교했으며, 현재 학부 1∼2학년 학생 약 200명이 재학 중이다.

개교 이후 정치권을 중심으로 개교 적법성 논란이 이어졌고, 감사원은 지난 3월 시민단체의 공익감사 청구를 수용, 에너지공대와 한전 등을 대상으로 감사에 착수한 상태다.

2031년까지 에너지공대의 설립과 운영에 들어갈 비용이 1조6천억원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한전은 주된 책임 기관이다.

한전과 10개 계열사는 지난 2020∼2022년 3년간 이미 총 1천724억원의 출연금을 냈고 이어 2023년 1천599억원, 2024년 1천321억원, 2025년 743억원 등 향후 3년간 3천600억원 이상을 더 내야 한다.

전기요금 '역마진' 구조로 한전은 2021년부터 올 1분기까지 45조원의 적자가 쌓였다. 현재 한전은 비상경영을 선포하고 25조7천억 규모의 자구안을 제시했다.

이런 상황에서 한전의 출연금 규모를 하향 조정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정부는 한전 출연금 축소 폭에 대해 신중히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전의 지원과 별개로 중앙 정부도 전기요금을 걷을 때 3.7% 부과해 조성하는 전력기금으로 에너지공대의 일상 운영비와 특정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산업부는 "내년 정부 예산안 편성 시 국정 기조에 맞춰 사업 구조, 지출 우선순위를 개편할 계획"이라며 "취약계층에 대한 보편적 전기 공급과 에너지 복지 등 기금 목적에 부합하는 사업을 중점적으로 발굴·추진하고, 에너지공대 지원 등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