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코인게이트' 의혹으로 탈당한 김남국 의원을 결국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 제소했지만, 지도부 대응 타이밍과 적절성 등을 두고 당내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비명(비이재명)계는 지도부가 여론 악화에 떠밀려 '늑장 대응'했다고 비판을 이어가는 반면, 친이재명(친명)계는 당내 진상조사 후 순서대로 한 것이라며 반박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박지원 전 국정원장은 18일 SBS 라디오에서 "친명·비명으로 싸우는 것은 더 나쁘다"며 "조국의 강을 건넜으면 됐지, 남국의 강은 왜 들어가려고 하나. (계파 갈등은) 해결해 나가야 한다. 그게 정치"라고 밝혔다.
비명계인 조응천 의원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지도부의 전날 윤리특위 제소를 두고 "김 의원이 탈당 선언을 했을 때 바로 해야 했다. 면피용·꼬리자르기 탈당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다"면서 "당내 진상조사가 힘든 상황이 되니 이제 와 그것을 명분 삼은 것 같다. 만시지탄"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정치가로서 과감한 결단, 한 박자 빠른 결정을 하기에는 행정가로서의 때를 벗지 못한 게 아닌가"라며 이 대표 리더십을 문제 삼기도 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정무수석을 지낸 최재성 전 의원도 라디오에서 "당이 정치적, 정무적으로 속도감 있게 파악할 수 있는 사안이었는데 (당내) 조사를 한다면서 오히려 늦추게 됐다"며 "당 대응이 처음부터 너무 안일했다. 몹시 아쉬운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최 전 의원은 다만 지도부 대응을 두고 비명계 일각에서 '이재명 사퇴론'이 다시 불거지는 데 대해서는 "한 의원의 일탈 문제를 당 대표의 거취로 연결한다면 아마 목숨을 부지하는 지도자나 당 대표는 없을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지도부를 비롯한 친명계는 윤리특위 제소로 당이 할 수 있는 최선의 조치를 다했다며 논란 수습에 주력했다.
자체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와중에 윤리특위에 제소하는 것은 '선후 관계'가 맞지 않아 제소를 미뤘다는 주장이다.
친명계인 박찬대 최고위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지난 14일 의원총회 직후 채택한 결의문에 '윤리특위 제소'가 누락된 데 대해 "모든 의원의 마음이 모이질 않았다. 그것 외에도 결의문에서 빠진 것들이 몇 개 있다"며 당시 최고위원 다수가 윤리특위 제소에 부정적이었다고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